경제/경제뉴스

🌐 “트럼프 관세? 인플레 자극 없었다”…스테이트스트리트가 본 한국·원화의 미래

그래도동 2025. 6. 17. 20:56
728x90
반응형
SMALL

스테이트스트리트의 벤 루크 전략가가 “미국 트럼프 관세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크게 자극하지 않았다”고 밝혀 화제가 되었습니다. 이 소식은 한국 주식과 원화가 뜬다는 투자의 명분으로도 읽히는데요, 그 배경을 더 재밌게 풀어봤습니다.

 


 

1. 🤔 관세가 인플레 부추기지 않았다?

  • 트럼프 관세 이후 물가 상승은 제한적이었다는 분석.
  • 인플레 부담이 덜하니… “미 연준, 금리 급하게 내릴 필요 없다”는 근거로 작용.
  • 그 결과 금리 인하 횟수 기대가 줄었고, 미국 국채수익률은 상승,
    ⇒ 이는 곧 한국 국고채에는 ‘중립’, 미국 기술주에는 긍정적 시그널이라는 결론.

 


 

2. 📈 기술주, 여전히 강세

  • 미국 기술기업 주당순이익(EPS)이 시장 평균 대비 200배 뛰어나다니…
  • 주식 투자자들이 기술주에 몰리는 이유가 여기 있군요!
  • 스테이트스트리트도 여전히 기술주 강세에 베팅 중입니다.

 


 

3. 🌏 한국 주식·원화, 단연 돋보인다!

  • 신흥시장 중에서 한국 주식·통화가 가장 긍정적인 평가!
  • 그 이유? 한국·일본은 미국과 대미 무역흑자를 줄여야 하니까, 원·달러 환율도 내려야 하고, 원화 강세가 필요하다는 분석.
  • 원화가 구매력 기준(PPP)으로 보면 20년 평균보다 18%나 저평가되어 있다는 사실…
  • 앞으로 3개월 뒤 1330원, 연말엔 1300원 돌파 기대도 걸어본다고 합니다.

 


 

4. 💵 기업이익 증가! 한국도 예외 없어

  • 스테이트스트리트는 한국 주식의 이익 전망을 2025년 약 15% 증가로 잡았고,
  • 신흥시장 평균 +20% 상승 가능성까지 언급했어요.

 


 

5. 🇰🇷 채권은?… 중립적

  • 미국 국채 수익률이 더 올라가면 신흥시장 (한국 포함) 채권 매력은 상대적으로 떨어짐.
  • 지금도 한국 국고채 수익률이 미 국채보다 낮아,
  • 스테이트스트리트는 “채권 구매세가 이어질 듯 보이지만, 오래 가긴 힘들 것 같다”고 봤어요.

 


 

6. 🕊 중동 변수?… 영향은 미미

  • 이스라엘–이란 긴장 상황이 글로벌 자산배분엔 영향이 거의 없다고 분석.
  • 글로벌 공급망 영향도 작다는 이유죠.

 


 

✅ 정리하자면…

  • /트럼프 관세 = 인플레 폭탄은 아니었다/
  • /미국 기술주 + 한국 주식, 원화는 좋아질 분위기/
  • /단, 한국 채권은 중립, 단기 매수세는 있어도 금리 흐름 따라갈 듯/

 


 

🧠 블로그 팁 한 줄!

“한국 주식·원화, 앞으로 오를까요?
스테이트스트리트는 YES!
원·달러 향방과 수출구조 변화, 기업이익이 핵심!”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