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경제뉴스
중국 2분기 GDP 5.2%…관세 전쟁 속 ‘깜짝 성장’
그래도동
2025. 7. 15. 12:10
728x90
반응형
SMALL
🔑 핵심 요약
- 2분기 GDP 5.2%↑: 시장 전망(5.1%) 상회, 1분기(5.4%) 대비 소폭 둔화
- 산업생산 6.8%↑: 예상치(5.6%) 크게 웃돌아 제조업 회복 신호
- 소매판매 부진: 4.8%↑로 기대 이하(5.3% 전망)
- 관세 휴전 효과: 美 대중 관세 145→30%, 中 대미 관세 125→10%
- 하반기 리스크: 과잉생산·부동산 둔화·수출 모멘텀 약화 우려
1️⃣ 2분기 성장률, 예상 넘어섰다
- GDP 성장률: 전년 동기 대비 5.2%↑
- 시장 전망 5.1%, 1분기 5.4% 대비 소폭 하락
- 산업생산: 6월 기준 전년 동월 대비 6.8%↑ (전망 5.6%)
- 소매판매: 같은 기간 4.8%↑ (전망 5.3%)
“2분기 지표는 예상보다 견조했지만, 소비 회복은 아직 더뎁니다.”
2️⃣ 관세 휴전이 뒷받침한 수출 모멘텀
- 美·中 관세 조정
- 미국 대중 관세: 145% → 30%
- 중국 대미 관세: 125% → 10%
- 수출 공격적 확대
- 대미 관세 인하 반사이익으로 물량 선적
- 미국 외 신흥 시장 공략 강화
“관세 휴전 덕에 중국 기업들의 ‘선(先) 재고 확보’ 수요가 살아났습니다.”
3️⃣ 긴급 부양책 보단 ‘정책 여력’ 확보
- 2분기 성장 상회로 당장 추가 부양책 ‘불필요’ 기류
- 하반기 재격화 대비, 단기 정책 여유 공간 유지 전망
“성장세 유지 덕분에 재정·통화 당국은 당분간 관망 모드입니다.”
4️⃣ 그러나 하반기 리스크는 여전
- 과잉 생산
- 핵심 제조업 설비 가동률 과열로 재고 누적 우려
- 수출 모멘텀 약화
- 관세 휴전 효과 소멸 후 물량 유입 둔화 가능성
- 부동산 경기 둔화
- 주요 도시 신규 분양·거래량 감소세 지속
“2분기 반등은 일시적일 수 있습니다. 하반기 수요 위축에 경계가 필요합니다.”
5️⃣ 시사점
- 글로벌 공급망 다변화: 관세 리스크 반복 시, 중국 외 생산기지 분산 전략 가속
- 내수 회복 관건: 소비 진작을 위한 서비스·온라인 유통 활성화 정책 필요
- 장기 투자 관점: 2분기 성장 기회를 포착하되, 하반기 모멘텀 약화에 대비
“관세 전쟁 속 깜짝 성과에도, 중국 경제의 진짜 시험대는 하반기의 수요 지속 가능성입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