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 핵심 요약
- 순자산 10조1,177억 원: 작년 말(7,748억 원) 대비 13배 급증
- 올 들어 3.4조 유입: 국내 ETF 시장(21.2%↑)을 크게 앞서며 50.6% 성장
- 1위 상품: ‘KODEX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 개인 순매수 4,890억 원
- 비과세 혜택: 국내 지수 기반 옵션 매도 차익(커버드콜 프리미엄)은 비과세
- 단점 & 진화: 주가 상승 시 시세차익 상한 → ‘커버드콜 2.0’ 전략 등장
1️⃣ 커버드콜 ETF 급성장 배경
- 목적: 기초 주식 매수 + 콜옵션 매도 → 안정적 분배금 창출
- 순자산 규모: 10조1177억 원 (7월 11일 기준)
- 1년6개월 변화: 7748억→10조1177억 (약 13배↑)
- 올해 유입액: 3조3976억 원
지표올 들어 ETF 전체커버드콜 ETF
순자산 증가율 | 21.2%↑ | 50.6%↑ |
개인 순매수 1위 ETF | TIGER S&P500 | KODEX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 (4,890억) |
2️⃣ ‘비과세’ 국내 주식형의 힘
- 옵션 차익 비과세: 국내 주식형 커버드콜은 “장내 파생차익”으로 분류 → 배당소득세(15.4%) 면제
- 배당소득(기초지수 배당): 연간 약 2%에만 과세 → 나머지 두 자릿수 프리미엄 비과세
- 절세 매력: 높은 분배금 + 비과세 혜택 = 고액 자산가 집중 유입
“강남 PB들 사이에선 ‘절세용 필수 상품’으로 입소문이 났다”
반응형
3️⃣ 단점 체크 & ‘커버드콜 2.0’으로 진화
단점
- 상방 제한: 주가가 급등해도 콜옵션 매도로 이익이 묶임
- 장기 투자 부적합: 복리효과 극대화보다는 현금 흐름 창출형
2.0 전략
- 부분 커버드콜: 옵션 매도 비중을 30% 이하로 낮춰 시세차익 일부 확보
- 초단기 옵션 활용: 위클리·제로데이 옵션으로 프리미엄 극대화
- 대표 상품:
- ‘RISE 미국AI밸류체인데일리고정커버드콜’ (기초자산 10%만 매도)
- 기초자산 일부만 커버드콜 → 나머진 자유 상승 참여
4️⃣ 투자 전 체크리스트
- 투자 목적: 정기적 수익(분배금) vs 자본 차익(시세차익) 우선 여부
- 시장 흐름: 횡보장·약세장에 방어적 역할
- 보수적 자금: 여유 자산에서 일부 포트폴리오로만 편입
- 상품 구조 파악: 옵션 만기 주기·기초자산 비중·과거 분배금 수준
728x90
인사이트
- 절세형 현금흐름: 배당소득 과세 한계를 피해 연 10%대 분배금을 비과세로 받는다
- 포트폴리오 다각화: 전통 주식과는 다른 수익원 제공
- 리스크 경고: 주가 급등 시 상방이 묶이니 장기 주가 상승 기대땐 일부만 활용
“커버드콜 ETF는 ‘시장 방어형 수익’과 ‘절세 혜택’이 핵심인 만큼, 투자 전 전략적 활용이 중요합니다.”
SMALL
728x90
반응형
LIST
'경제 > 경제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逆)시즌 진격! 불볕더위 속 겨울 패딩·코트 ‘대박 할인전’ (0) | 2025.07.16 |
---|---|
“전국 100여 곳 새마을금고 특별점검…‘원스트라이크 아웃’ 도입” (3) | 2025.07.16 |
“2분기 생활물가 ‘뚝배기’…37개 필수품 중 28개↑” (1) | 2025.07.16 |
글로벌 희토류 시장 급부상…ETF·테마주 동시 급등 (1) | 2025.07.16 |
통신주, 저평가 매력 속 배당 상승 포인트 (1) | 2025.07.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