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뉴스

🔍 2025년 6월 산업활동동향 분석: “소비는 반등, 투자는 4개월째 하락…경기 회복 가능할까?”

by 그래도동 2025. 7. 31.
728x90
반응형
SMALL
 

🔍 2025년 6월 산업활동동향 분석: “소비는 반등, 투자는 4개월째 하락…경기 회복 가능할까?”

2025년 6월 산업활동동향 발표. 생산과 소비는 증가했지만, 설비투자는 4개월 연속 감소. 정부는 2차 추경 ...

blog.naver.com

 

2025년 6월 산업활동동향 발표. 생산과 소비는 증가했지만, 설비투자는 4개월 연속 감소. 정부는 2차 추경 집행으로 경기 반등에 나선다.


✅ 6월 경제 지표 요약

지표 수치 전월 대비
전산업 생산지수 113.8 ▲1.2%
소매판매액지수 (소비) 101.7 ▲0.5%
설비투자 108.0 ▼3.7%
건설기성 (불변) - ▲6.7%
동행지수 순환변동치 98.4 ▼0.1p
선행지수 순환변동치 101.2 ▲0.2p
 

🔹 생산: 전 산업 분야 모두 플러스 성장

6월 생산은 광공업, 건설업, 서비스업, 공공행정 등 전 분야에서 증가했습니다. 특히:

  • 반도체(6.6%), 자동차(4.2%) 생산 호조가 산업 전반을 견인
  • 다만 전자부품(-18.9%)은 스마트폰 수요 감소로 큰 폭 하락

📌 전자부품 감소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대폭 하락


🛍️ 소비: 4개월 만에 반등 성공

소비 지표인 소매판매액지수는 0.5% 상승하며 반등세를 나타냈습니다.

  • 내구재(통신기기·자동차): -1.6% 하락
  • 준내구재(의류): 4.1% 증가
  • 비내구재(화장품, 식료품): 0.3% 증가

📌 소비심리가 회복되며 정부의 소비쿠폰 정책 효과 기대감 커짐


📉 투자: 설비투자 4개월 연속 감소

반면 설비투자는 3.7% 감소하며 2월 이후 4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 운송장비 투자 -14.8%: 큰 폭 하락
  • 기계류 +1.7%: 소폭 증가에 그침

이는 2018년 이후 처음으로 4개월 연속 감소한 것으로 기록됩니다.


🏗️ 건설기성: 반등했지만 회복 신호는 ‘아직’

건설기성은 6.7% 증가했지만, 전문가들은 건설경기 회복으로 보기엔 이르다고 판단했습니다.

  • 건축 +10.3% 증가가 전체 상승을 견인
  • 하지만 전년 동월 대비로는 14개월 연속 감소

📈 경기지표: 희망의 불씨는?

  • 동행지수 순환변동치(현재 경기): 98.4 → 소폭 하락
  •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미래 전망): 101.2 → 소폭 상승

이는 경기가 서서히 회복 국면으로 진입할 가능성을 암시합니다.


💬 정부 입장과 향후 계획

기획재정부는 경기 회복을 위해 다음과 같은 계획을 제시했습니다:

  • 2차 추경안 31조8000억원 신속 집행
  • 범정부 소비 진작 프로그램 운영
  • 관세 불확실성 해소로 수출 기대감↑

📌 “소비 회복세가 실제 경기 반등으로 이어지도록 정부 전방위 대응 예정”


🧠 전문가 한줄평

“생산과 소비는 살아났지만, 투자가 여전히 부진한 구조적 이슈가 남아 있다. 정부의 확장적 재정정책이 효과를 내려면 민간투자 심리 회복이 필수다.”
– 경제연구소 연구위원


📢 해시태그 요약

#산업활동동향 #2025년경제지표 #한국경제 #소비심리회복 #설비투자감소 #추경집행 #경기회복전망 #반도체생산 #소매판매지수 #정부정책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