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뉴스

📉 “G20 중 성장률 꼴찌”…한국 경제, 어디까지 추락하나?

by 그래도동 2025. 6. 12.
728x90
반응형
SMALL

OECD가 찍은 ‘최하위’…한국 경제에 또 한 번의 경고등

OECD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한국의 1분기 실질 GDP 성장률이 G20 국가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는 충격적인 결과가 나왔습니다.
20개국 중 역성장을 기록한 곳은 단 두 나라.
미국(-0.1%)보다도 낮은 -0.2%를 기록한 한국이 ‘꼴찌’입니다.

“외환위기나 팬데믹 당시보다 더 심각하다”는 평가까지 나오는 상황.
이 글에서는 그 원인과 함의를 정리합니다.

 


 

📊 주요 수치로 보는 한국의 충격적 순위

순위국가2024년 1분기 실질 GDP 성장률
1위 인도 +2.0%
2위 브라질 +1.4%
3위 중국 +1.2%
18위 일본 0.0%
19위 미국 –0.1%
20위 🇰🇷 한국 –0.2% (최하위)
 

OECD는 이와 함께 2024년 한국의 연간 성장률 전망치를 1.0%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이는 불과 6개월 전(2023년 12월) 전망치인 2.1%에서 절반 이상이 깎인 수치입니다.

 


 

❓ 왜 한국만 이렇게 떨어졌을까 – 복합 요인 분석

  1. 수출 둔화
    • 미국의 보호무역 강화, 대중 무역 긴장 속 반도체·자동차 수출 둔화
  2. 건설 경기 부진
    • 금리 부담과 PF 부실 등으로 건설 투자 위축
  3. 산불 등 재해 요인
    • 역대 최악의 산불로 소비심리·내수 위축
  4. 생산가능인구 감소
    • 인구 고령화 → 노동력 축소
  5. 투자 감소 및 민간 소비 정체
    • 기업과 가계 모두 보수적 자산운용 추세

 


 

📉 잠재성장률도 ‘뚝’…한국 경제의 기초체력 저하 심각

잠재성장률은 ‘물가를 자극하지 않고 달성할 수 있는 최대 성장률’을 의미합니다.
한국은 이 지표에서도 OECD 국가 중 하락 속도가 가장 빠른 나라입니다.

시기잠재성장률 추이
1994년 8%
현재 2% 이하
하락폭 약 –6%포인트 (OECD 최악)
 

이는 단기 경기 침체가 아닌 구조적인 체력 저하를 의미하며,
향후 한국 경제의 지속 성장 가능성에도 심각한 경고가 되고 있습니다.

 


 

💬 전문가들의 시각 – “이젠 민첩한 구조개혁이 필요할 때”

  • OECD: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 –0.3%로 G20 중 가장 낮다.”
  • 한국은행: “구조 개혁 없이 반등 어려워…생산성 향상·인구정책 병행 시급”
  • KDI: “올해 0.8% 성장에 그칠 것…기업투자와 기술혁신이 해법”

 


 

📌 핵심 요약 – OECD 보고서가 말하는 한국 경제의 현실

항목내용 요약
1분기 성장률 G20 중 유일한 –0.2%, 최하위
연간 성장 전망 OECD 기준 1.0%, 한은/KDI는 0.8%
원인 수출·건설 둔화, 재해, 인구 감소, 민간소비 정체
잠재성장률 30년간 –6%p 하락, OECD 중 최악
시사점 구조개혁·인구정책 없이는 회복 어렵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