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OECD가 찍은 ‘최하위’…한국 경제에 또 한 번의 경고등
OECD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한국의 1분기 실질 GDP 성장률이 G20 국가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는 충격적인 결과가 나왔습니다.
20개국 중 역성장을 기록한 곳은 단 두 나라.
미국(-0.1%)보다도 낮은 -0.2%를 기록한 한국이 ‘꼴찌’입니다.
“외환위기나 팬데믹 당시보다 더 심각하다”는 평가까지 나오는 상황.
이 글에서는 그 원인과 함의를 정리합니다.
📊 주요 수치로 보는 한국의 충격적 순위
순위국가2024년 1분기 실질 GDP 성장률
1위 | 인도 | +2.0% |
2위 | 브라질 | +1.4% |
3위 | 중국 | +1.2% |
… | … | … |
18위 | 일본 | 0.0% |
19위 | 미국 | –0.1% |
20위 | 🇰🇷 한국 | –0.2% (최하위) |
OECD는 이와 함께 2024년 한국의 연간 성장률 전망치를 1.0%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이는 불과 6개월 전(2023년 12월) 전망치인 2.1%에서 절반 이상이 깎인 수치입니다.
❓ 왜 한국만 이렇게 떨어졌을까 – 복합 요인 분석
- 수출 둔화
- 미국의 보호무역 강화, 대중 무역 긴장 속 반도체·자동차 수출 둔화
- 건설 경기 부진
- 금리 부담과 PF 부실 등으로 건설 투자 위축
- 산불 등 재해 요인
- 역대 최악의 산불로 소비심리·내수 위축
- 생산가능인구 감소
- 인구 고령화 → 노동력 축소
- 투자 감소 및 민간 소비 정체
- 기업과 가계 모두 보수적 자산운용 추세
📉 잠재성장률도 ‘뚝’…한국 경제의 기초체력 저하 심각
잠재성장률은 ‘물가를 자극하지 않고 달성할 수 있는 최대 성장률’을 의미합니다.
한국은 이 지표에서도 OECD 국가 중 하락 속도가 가장 빠른 나라입니다.
시기잠재성장률 추이
1994년 | 약 8% |
현재 | 2% 이하 |
하락폭 | 약 –6%포인트 (OECD 최악) |
이는 단기 경기 침체가 아닌 구조적인 체력 저하를 의미하며,
향후 한국 경제의 지속 성장 가능성에도 심각한 경고가 되고 있습니다.
💬 전문가들의 시각 – “이젠 민첩한 구조개혁이 필요할 때”
- OECD: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 –0.3%로 G20 중 가장 낮다.”
- 한국은행: “구조 개혁 없이 반등 어려워…생산성 향상·인구정책 병행 시급”
- KDI: “올해 0.8% 성장에 그칠 것…기업투자와 기술혁신이 해법”
📌 핵심 요약 – OECD 보고서가 말하는 한국 경제의 현실
항목내용 요약
1분기 성장률 | G20 중 유일한 –0.2%, 최하위 |
연간 성장 전망 | OECD 기준 1.0%, 한은/KDI는 0.8% |
원인 | 수출·건설 둔화, 재해, 인구 감소, 민간소비 정체 |
잠재성장률 | 30년간 –6%p 하락, OECD 중 최악 |
시사점 | 구조개혁·인구정책 없이는 회복 어렵다 |
728x90
반응형
LIST
'경제 > 경제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보험료 반값? ‘이재명표 실손 개혁’에 2,200만 명이 주목하는 이유 (0) | 2025.06.12 |
---|---|
🏦 “금리 너무 내리면 집값만 오른다”…한은 총재의 경고가 의미하는 것 (0) | 2025.06.12 |
🍜 “라면 2,000원 실화냐?”…정부 ‘식품 물가’에 칼 빼들다 (0) | 2025.06.12 |
🔥“이 기세 실화냐?”…외인 매수에 불붙은 코스피, 3,200도 뚫는다 (0) | 2025.06.12 |
프리미엄 고집하던 스타벅스, 결국 ‘가격 전쟁’으로 들어간다 (0) | 2025.06.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