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지금 대한민국 AI 산업에 역사적인 장면이 펼쳐지고 있습니다.
SK그룹과 세계 최대 클라우드 기업 AWS가 무려 7조원을 들여 GPU 6만 장 규모의 초대형 AI 데이터센터를 울산에 세운다는 발표를 했기 때문이죠.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이 데이터센터는 단순한 기업 프로젝트가 아닙니다.
정부가 밀고 있는 국가 전략 사업, ‘AI 고속도로’의 핵심축이자 대한민국이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대동맥이 될 전망입니다.
💡 왜 울산인가?
많은 분들이 의아할 수 있어요. “왜 서울이나 판교가 아니라 울산일까?”
답은 간단합니다. 전력과 인프라, 그리고 확장성 때문입니다.
- 대량의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LNG 기반 인프라(SK가스, SKMU 등)
- 수도권의 포화 상태를 넘어서 지역 균형 발전
- 향후 일본·대만 등으로 해저 케이블 연결 가능성
울산은 더 이상 제조 도시가 아닙니다. ‘AI 허브 도시’로 변신 중입니다.
🧠 AI 컴퓨팅 센터의 심장: GPU 6만 장
이번 프로젝트는 국가 AI 컴퓨팅센터(GPU 3만 장 규모)보다 2배 큰 규모로,
단순한 데이터 저장소를 넘어 AI 학습·모델 개발의 본진이 됩니다.
여기에서 대규모언어모델(LLM), 산업 특화 AI, 미래형 에이전트들이 훈련되고 실현될 예정입니다.
한국형 챗GPT가 나올 수도 있겠죠?
💬 SK 최태원 회장의 메시지
최태원 회장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이번 투자는 단순히 기업 차원을 넘어서, AI 3대 강국을 위한 국가 성장 동력 구축입니다.”
그는 1GW급 데이터센터 건설도 언급하며, 향후 최대 70조원 규모 확장 가능성도 내비쳤습니다.
즉, 이건 시작에 불과하다는 뜻이죠.
🌏 글로벌 확장까지 고려
AWS가 한국에 이처럼 큰 금액을 투자한 이유도 있습니다.
- 한국은 AI 도입 속도가 빠른 시장
- 울산은 일본·대만 등 동북아 국가들과 지리적으로 가까움
- 향후 해저 케이블을 통한 글로벌 서비스 허브 가능성
한국발 AI 인프라가 동북아 전체를 아우를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는 얘기입니다.
📝 핵심 요약
- SK그룹과 AWS, 약 7조원 투자로 울산에 AI 전용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착공
- GPU 6만 장 규모로, 정부 AI 컴퓨팅센터(3만 장)보다 2배 이상 큼
- 수도권 중심 인프라를 비수도권(울산)으로 분산 → 지역 균형 발전
- 전력 안정성, 글로벌 확장성, 정부 정책 연계까지 고려한 전략적 결정
- 향후 1GW급 확장 땐 70조원 규모 투자 예상
728x90
반응형
'경제 > 경제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한우가 와규보다 맛있대요!”…중동서 불붙은 K푸드 열풍🔥 (0) | 2025.06.20 |
---|---|
🇰🇷🐄 “한국 젖소 덕분에 인생이 바뀌었어요”…네팔에서 벌어진 ‘K-낙농 기적’ (0) | 2025.06.20 |
📈 "탈출은 지능순" 비웃음 뚫고…코스피 3000 돌파한 진짜 이유는? (0) | 2025.06.20 |
📅 주4.5일제? 퇴근 후 '카톡 금지'?…진짜 달라지는 직장인의 미래 (0) | 2025.06.20 |
🇰🇷 스테이블코인 ‘한국 패싱’?…디지털자산 기본법이 시급한 이유 (0) | 2025.06.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