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뉴스

🇰🇷 한국 서비스산업 생산성, 왜 미국보다 뒤처지나?

by 그래도동 2025. 7. 3.
728x90
반응형
SMALL

팬데믹 이후 ‘격차’ 더 커졌다


📌 무슨 일이야?

  • 한국은행 보고서:
    • 한국 서비스산업 생산성, 미국의 절반 수준(51.1%)
    • OECD 평균(59.9%)·독일(59.2%)·일본(56.0%)에도 뒤처짐

양적 규모는 성장

  • GDP 기여도 44%, 취업자 비중 65%

질적 수준은 정체

  • 제조업 대비 생산성: 2005년 40%대 → 작년 39.4%
  • 팬데믹 이후에도 미국과 달리 개선 못함

🔍 미국은 어떻게 했나?

  • 팬데믹 이후 美 비즈니스 부문 생산성 연평균 +2.0%
  • Fed 분석:
    • 첨단 서비스업(소프트웨어, 데이터 처리, 연구개발) 중심 신규 기업 활발
    • 첨단 기술 서비스가 성장 동력

⚡️ 한국은?

  • 금융·보험·IT 등 고부가 서비스, 팬데믹 때 잠깐 개선 → 2022년 이후 다시 하락
  • 서비스업 GDP 기여도도 5년 새 1.7%p → 1.1%p로 축소

✅ 시사점 (한줄 요약)

“美는 첨단 서비스업 혁신으로 성장 궤도 복귀, 한국은 서비스업 생산성이 발목.”

  • 한은 전문가:
    • “제조·서비스 융합 트렌드 키워야”
    • 서비스산업발전 기본법 제정, 규제 과감히 풀 필요!”

🗝️ 인사이트 코멘트

1️⃣ 서비스산업 혁신 없인 저성장 탈출 어렵다

  • 미국처럼 빅테크·데이터·연구개발 기반 서비스업 키워야 함

2️⃣ 규제 완화 & 신생기업 진입 장벽 낮추기

  • 한국은 진입장벽이 높고, 제조업 중심 인프라에 갇혀 있음

3️⃣ 제조업 강국 → 서비스업 융합으로

  • 애플·엔비디아처럼 제조+서비스 융합 모델이 핵심!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