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요약
- 쌀 20kg 소매가격 1년 새 10% 이상 상승, 4년 만에 6만원대 근접.
- 지난해 이상기후로 쌀 생산량 3.2% 감소, 민간 재고 줄어 가격 상승 압력.
- 정부, 지역농협에 ‘가격 지침’과 대규모 쌀 매입 강요해 시장 가격 통제 시도.
- 과도한 시장 격리와 가격 통제로 농협·유통업체 간 가격 담합 우려 제기.
- 쌀값 상승에 벼 재배면적 감축 정책 동력 약화, 정부 대책 필요성 커져.
쌀값, 1년 만에 10% 넘게 급등…“4년 만에 최고치”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자료에 따르면, 올해 7월 초 기준 쌀 20kg 전국 평균 소매가격은 약 5만9,159원으로 1년 전보다 10.4% 상승했다. 평년 대비로는 13.8% 오른 수치다. 유통업체 기준 쌀값은 6만 원을 넘어섰는데, 이는 2021년 9월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이상기후와 생산량 감소가 가격 상승의 주요 배경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쌀 생산량은 358만5,000톤으로 전년 대비 3.2% 감소했다. 무더위 등 이상기후로 인한 생산량 감소가 민간 쌀 재고를 줄이고, 공급 부족을 야기해 가격 상승을 부추긴 것이다.
정부의 가격 통제와 시장 격리, 부작용 우려
정부는 지난해 쌀 가격 안정과 농가 보호를 위해 대규모 쌀 매입과 지역농협을 통한 가격 관리에 나섰다. 하지만 과도한 시장 격리와 가격 통제 정책은 오히려 농협과 유통업체 간 담합을 부추기는 등 부작용을 낳고 있다.
특히 지역농협은 농가로부터 쌀을 비싸게 사들이면서도, 이 높은 가격을 소비자에게 전가하는 구조가 형성됐다. 일부 업계 관계자는 “지역농협 간 공동사업법인 형태의 담합이 증가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쌀값 상승에 벼 재배면적 축소 정책도 위축
정부는 쌀 과잉 생산 문제 해결을 위해 벼 재배면적을 감축하는 정책을 추진 중이다. 하지만 쌀값 상승으로 농가들이 벼 재배 포기를 망설이며 정책 효과가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정부, 쌀 재고 원활한 유통과 가격 안정 대책 마련 중
농림축산식품부는 농협과 민간 미곡종합처리장(RPC) 등과 협력해 쌀 재고가 원활히 유통되도록 하고, 필요시 할인 판매나 공매를 통해 가격 안정을 꾀할 계획이다.
마무리
최근 쌀값 상승은 생산량 감소와 함께 정부의 시장 개입이 맞물리면서 복합적으로 발생한 현상이다. 앞으로도 쌀 가격 안정과 농가 보호, 소비자 부담 완화를 위한 균형 잡힌 정책이 요구된다.
'경제 > 경제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5% 관세 폭탄” 한국·일본에 날린 트럼프의 ‘무역 청구서’ (0) | 2025.07.08 |
---|---|
⚡️ 꿈의 전력 인프라, ‘초전도 스테이션’이 온다! (0) | 2025.07.07 |
💼 초단시간 알바·N잡러도 고용보험 가입 가능…정부, 30년 만에 ‘소득 기준’ 전환 (0) | 2025.07.07 |
🚨 충격 연구결과: 남성 정액·여성 난자에서도 ‘미세플라스틱’ 발견…“인간 생식 위협하나?” (0) | 2025.07.07 |
💸 초고액 월세 급증의 비밀...자산가들이 월 4000만원 월세를 선택한 진짜 이유는? (0) | 2025.07.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