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 핵심 요약
- 2분기 매출 74조원, 전년동기 대비 0.09%↓, 전망치도 하회
- 영업이익 4조6천억, 전년동기 대비 55.9%↓…“반토막 충격”
- DS(반도체) 부문 부진: 재고 충당금·AI칩 대중 제재 영향
- 비메모리 사업도 타격: AI칩 판매 제약·재고 비용 부담
- 하반기 반등 전략: HBM4·갤럭시Z 신제품·가전 위기관리
1️⃣ “74조원은 근근이 지켰지만…” 매출 정체의 의미
삼성전자가 발표한 2분기 잠정 실적은 매출 74조원, 전년 동기 대비 0.09% 감소한 수치다. 얼핏 보면 큰 변화가 아닌 듯 보이지만, 증권사 컨센서스(76조2천억)에 못 미친다는 점이 뼈아프다. 글로벌 수요 둔화 속에서 프리미엄 스마트폰·TV·가전 매출까지 전반적으로 예전 같지 않다는 신호다.
2️⃣ 영업이익 ‘반토막’…4조6천억의 무게
더 충격적인 건 영업이익. 4조6천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약 10조5천억원)에 비해 무려 55.9% 급감했다. 이토록 큰 폭으로 줄어든 건 3개 분기 연속으로 SK하이닉스에도 뒤처질 위기에 처했다는 뜻이다. 반도체 중심 기업으로서 체면이 구겨진 셈이다.
3️⃣ DS 부문, 재고 충당과 제재의 이중고
- 메모리 사업: 재고자산 평가 충당금 발생
- AI칩(비메모리): 대중국 수출 제재로 판매 제약
- 라인 가동률 하락까지 겹치며 실적 악화
비록 HBM 개선 제품 일부는 출하되지만, 주력 고객사인 엔비디아에 납품 지연이 발목을 잡았다.
4️⃣ 하반기 반등 카드, 과연 통할까?
- HBM4 양산: 올해 하반기부터 대규모 공급 목표
- 갤럭시Z폴드·플립7: 시스템LSI 반등 기대
- AMD·브로드컴 HBM3E 공급: 파운드리 고객 다변화 필요
TV·가전 분야는 중국 추격과 미국 관세 정책이라는 불확실성 관리가 관건이다.
5️⃣ 결론: “위기 속에도 기회는 있다”
삼성전자는 반도체·모바일·가전 삼두마차로 성장해왔으나, 글로벌 경기 둔화와 미·중 갈등이라는 복합 위기에 직면했다.
하반기 HBM4·신제품 출시·가전 위기관리라는 반등 전략을 어떻게 실행하느냐에 따라 올 연말 성적표는 달라질 것이다.
728x90
반응형
LIST
'경제 > 경제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저금리 시대에도 고금리 챙기기! 꼭 가입해야 할 특판 예·적금 5가지 (0) | 2025.07.08 |
---|---|
🚀 “GNI 4만 달러?” 과학·IT 서비스가 열쇠다! (0) | 2025.07.08 |
🚫 “연금 깎인다니 헌 보험료는 다 어디 간 건가요?” 소득활동 감액제의 불편한 진실 (0) | 2025.07.08 |
📉 “25% 관세 폭탄” 한국·일본에 날린 트럼프의 ‘무역 청구서’ (0) | 2025.07.08 |
⚡️ 꿈의 전력 인프라, ‘초전도 스테이션’이 온다! (0) | 2025.07.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