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뉴스

💼 중소기업 취업 청년에 최대 1,200만원 지원…“지속 가능한 일자리 만든다”

by 그래도동 2025. 7. 11.
728x90
반응형
SMALL

🔑 핵심 요약

  • 청년 일자리 도약 장려금: 18개월 최대 480만원 → 5년간 최대 1,200만원
  • 소득세 감면: 5년간 200만원 한도, 감면율 90% → 100% 상향 검토
  • 주택청약 가점 부여 방안도 논의
  • 상생형 스마트 공장 지원 재개: AI 전환 비용 60%(정부·원청 각 30%) 지원
  • 세액공제율: 복지·성과급 비용에 대한 법인세 공제율 25%로 확대 검토

1️⃣ “장려금·세제 혜택, 5년 지원으로 늘린다”

  • 현행: 중소기업 취업 청년에 18개월간 최대 480만원 지급
  • 개선안: 5년간 최대 1,200만원으로 2.5배 확대
  • 소득세 감면 한도 유지(200만원)하되, 감면율 90%→100% 상향

“‘취업 재수’ 줄이고, 중소기업에 오래 머물도록 유도”


2️⃣ “주택청약 가점도 지원”

  • 별도 예산 없이 주택청약 가점 우대 부여 검토
  • 중소기업 취업 자체가 주거 혜택 요건으로 작용

“목돈 마련 부담까지 덜어주는 청년 취업 인센티브”


3️⃣ “스마트 공장 지원 60%로 확대”

  • AI 기반 스마트팩토리 전환비용 절반 정부·원청負担 → 60% 지원
  • ‘상생형 스마트 공장’ 프로그램 재가동

“제조업 부흥 위해 생산성 혁신도 패키지로 지원”


4️⃣ “中企 복지, 法인세 공제율 25%로”

  • 현재: 근로소득 인상·성과급·복지 비용에 10~20% 법인세 공제
  • 개선안: 25%로 확대
  • 대기업급 복지 수준 차별 완화 목적

“中企 복지 개선비용을 세금으로 뒷받침”


5️⃣ 현장의 불안감과 우려

  • 영세 중소기업: “장려금 늘려도 인건비 부담 여전”
  • 자영업자: “추가 지원 없으면 버티기 어려워”
  • 일각 지적: “지원 확대가 中企 기피 현상 근본 해결될지 의문”

“지원만으론 ‘저임금 구조’ 탈피 불가…성장·임금 동반 상승 필요”


인사이트

  1. 장기 인센티브 설계: 지원 기간 늘린 건 긍정적이지만,
    • 지원 중단 후 이직 우려
    • 성과 연계형 인센티브 도입 필요
  2. 생산성·임금 동반 성장: AI 공장 지원, 세제 혜택이
    • 실제 임금 인상·고용 안정으로 이어지려면
    • 혁신 역량·경영 지원 병행 필수
  3. 정책 패키지화: 주택청약·복지·세제·스마트 공장 등
    • 종합 지원 체계로 청년·中企 동반 성장 유도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