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뉴스

한국은행, '디지털화폐실'로 명칭 변경! 연구 넘어 실질 사업 부서로 전환

by 그래도동 2025. 7. 29.
728x90
반응형
SMALL
 

한국은행, '디지털화폐실'로 명칭 변경! 연구 넘어 실질 사업 부서로 전환

CBDC 사업 본격화 의지…'프로젝트 한강' 재개될까? 한국은행이 금융결제국 산하의 디지털화...

blog.naver.com

 

CBDC 사업 본격화 의지…'프로젝트 한강' 재개될까?

한국은행이 금융결제국 산하의 디지털화폐연구실에서 '연구'라는 단어를 빼고 '디지털화폐실'로 변경하기로 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연구 부서가 아닌, 실질적인 디지털 화폐 사업을 추진하는 부서임을 대내외에 분명히 하려는 의지로 풀이됩니다.

29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한은은 오는 31일부터 디지털화폐연구실을 디지털화폐실로 바꾸고, 하위 조직인 디지털화폐기술1팀과 디지털화폐기술2팀도 각각 디지털화폐기술팀과 디지털화폐인프라팀으로 변경합니다. 한은 관계자는 "연구만 하는 부서가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하고자 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인사이트: CBDC와 스테이블코인 논란 속 한은의 메시지

올해 초 디지털화폐연구부에서 격상된 디지털화폐연구실은 그동안 중앙은행디지털화폐(CBDC) 관련 사업을 전담하며, 디지털 화폐 활용성을 테스트하는 '프로젝트 한강'을 주도해왔습니다. 프로젝트 한강의 1차 테스트는 지난달 말 마무리되었지만, 참여 은행들의 불만으로 하반기 진행 예정이었던 2차 테스트는 잠정 중단된 상태입니다.

 

이는 시중은행들이 CBDC보다는 스테이블코인에 더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기 때문으로 해석됩니다. 하지만 한국은행은 CBDC 기반의 예금토큰이 은행 중심의 스테이블코인과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으며, 일각에서 요구하는 비은행 스테이블코인과도 발행 주체만 다를 뿐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는 CBDC가 스테이블코인의 '대척점'으로 인식되는 것을 차단하고, 오히려 CBDC가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화폐 생태계의 기반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하려는 의도로 보입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 10일 기자간담회에서 "프로젝트 한강은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안전하게 도입하기 위한 것"이라며, "원화 스테이블코인이든 예금토큰이든 미래에는 디지털화한 화폐가 필요하다"고 발언하며 CBDC의 필요성을 재차 강조했습니다.

 

이번 명칭 변경은 한국은행이 디지털 화폐에 대한 연구를 넘어 CBDC 관련 사업을 더욱 적극적이고 실질적으로 추진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는 것입니다. 향후 잠정 중단된 프로젝트 한강 2차 테스트 재추진 여부에도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과연 한국은행은 CBDC를 통해 디지털 금융 환경의 새로운 지평을 열 수 있을까요?


자주 묻는 질문 (FAQ)

Q1: 한국은행 디지털화폐연구실의 명칭이 변경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1: 단순한 연구를 넘어 실질적인 디지털 화폐 사업을 추진하는 부서임을 명확히 하고자 하는 한국은행의 의지를 반영한 것입니다.

Q2: 변경되는 부서 명칭은 무엇이며, 언제부터 적용되나요?

A2: '디지털화폐연구실'에서 '디지털화폐실'로 변경되며, 7월 31일부터 적용됩니다.

Q3: 디지털화폐실이 주도했던 주요 프로젝트는 무엇인가요?

A3: 중앙은행디지털화폐(CBDC)의 활용성을 테스트하는 '프로젝트 한강'을 주도해왔습니다.

Q4: '프로젝트 한강' 2차 테스트는 현재 어떤 상황인가요?

A4: 1차 테스트는 마무리되었으나, 참여 은행들의 불만으로 하반기 진행 예정이었던 2차 테스트는 잠정 중단된 상태입니다.

Q5: 한국은행은 CBDC와 스테이블코인에 대해 어떤 입장을 가지고 있나요?

A5: CBDC 기반의 예금토큰이 은행 중심의 스테이블코인과 다르지 않으며,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화폐의 기반이 될 수 있다고 강조하며 CBDC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습니다.


#한국은행 #디지털화폐실 #CBDC #중앙은행디지털화폐 #프로젝트한강 #스테이블코인 #디지털금융 #이창용총재 #금융정책 #디지털화폐기술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