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상반기 4대 금융지주 저축은행 실적 분석: 희비 엇갈린 이유는?
2025년 상반기 4대 금융지주 계열 저축은행 실적이 크게 엇갈렸습니다. 우리금융저축은행은 흑자 전환에 성...
blog.naver.com
2025년 상반기 4대 금융지주 계열 저축은행 실적이 크게 엇갈렸습니다. 우리금융저축은행은 흑자 전환에 성공했지만 하나저축은행은 적자 행진을 이어갔습니다. 부동산 PF 충당금이 주요 원인입니다.
💡 금융지주 계열 저축은행 실적, 왜 달라졌나?
2025년 상반기, KB·신한·하나·우리 등 4대 금융지주 계열 저축은행의 실적이 뚜렷한 차이를 보였습니다. 일부는 적자에서 벗어나 흑자로 전환했지만, 일부는 여전히 고전 중입니다. 특히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충당금이 수익성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됩니다.
📈 우리금융저축은행, 1년 만의 흑자 전환
항목 | 2024 상반기 | 2025 상반기 |
순이익 | -280억 원(적자) | +112억 원(흑자) |
- 전략적 자산 리밸런싱과 우량 기업 대출 선별 전략이 주효했습니다.
- 부동산 PF 평가기준 강화로 인해 작년에는 대규모 충당금을 쌓았지만, 올해는 이를 줄이며 손익 개선에 성공했습니다.
📉 하나저축은행, 5분기 연속 적자
- 2025년 상반기 231억 원 적자 기록
- 2024년 2분기 이후 5분기 연속 적자 행진
- 부동산 PF 충당금 부담이 가장 큰 요인
☑️ 리스크 집중도 조절 실패와 자산 구조 조정 미흡이 실적 부진의 배경으로 지목됩니다.
⚖️ KB·신한저축은행도 실적 감소
은행 | 2024 상반기 순이익 | 2025 상반기 순이익 | 감소율 |
KB저축은행 | 32억 원 | 9억 원 | -72% |
신한저축은행 | 125억 원 | 122억 원 | -2.4% |
- 추가 충당금 적립과 대손비용 증가가 원인
- KB저축은행: 부실채권 대비 대손충당금 187억 원 추가 적립
- 신한저축은행: 대손비용 313억 원 발생 (전년 대비 22억 원 증가)
🧾 부동산 PF 리스크와 충당금, 왜 중요한가?
부동산 PF 대출은 수익성 높은 대신 리스크가 큰 자산입니다. 최근 경기 둔화와 규제 강화로 미분양이 증가하면서 PF 부실 위험이 커졌고, 이에 따른 충당금 적립이 저축은행의 수익성에 직접적 영향을 미쳤습니다.
🔮 하반기 전망: 여전히 '험로'
📌 리스크 요인
- 6·27 가계대출 규제 본격 시행
- 연체율 상승 우려: 1분기 평균 연체율 9.0%, 2015년 이후 최고
- 중·저신용자 상환능력 저하 전망
📌 대응 전략
- 신규 여신 확대보다 건전성 관리 집중
- 내실 강화 및 자산 안전성 중심의 포트폴리오 조정
- 리스크 기반 영업 기조로 전환 중
💬 업계 관계자 한마디
“하반기에는 수익성보다 연체율·대손비용 등 건전성 지표 관리가 저축은행 생존의 관건이 될 것입니다.”
– 금융지주 계열 저축은행 관계자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저축은행 실적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요인은?
→ 부동산 PF 대출의 부실 가능성과 그에 따른 충당금 적립 확대가 핵심입니다.
Q2. 왜 우리금융저축은행만 실적이 좋아졌나요?
→ 작년 과도한 충당금 적립 후, 보수적 포트폴리오 재조정과 리스크 관리 강화가 효과를 본 것으로 분석됩니다.
Q3. 하나저축은행은 계속 적자일까요?
→ 리스크 통제 실패가 누적된 결과이지만, 하반기 자산구조 조정과 리밸런싱이 성공한다면 회복 가능성은 있습니다.
Q4. KB·신한저축은행은 안정적인가요?
→ 실적은 감소했지만 상대적으로 양호한 수준입니다. 단, 하반기에도 연체율 증가가 변수입니다.
Q5. 충당금이란 정확히 무엇인가요?
→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대출 부실에 대비해 미리 쌓아두는 비용입니다. 금융 건전성 확보에 필수적입니다.
Q6. 저축은행에 투자하거나 예금해도 괜찮을까요?
→ 개별 은행의 건전성 지표(연체율, 자산 구성 등)를 꼼꼼히 체크하고 판단해야 합니다.
✅ 결론: 실적보다 '건전성'이 중요한 시기
2025년 상반기 4대 금융지주 저축은행 실적은 부동산 PF 리스크와 충당금에 따라 명암이 갈렸습니다. 하반기에는 대출 제한과 연체율 관리 강화가 불가피한 만큼, 수익보다 지속 가능한 건전성 확보가 핵심 과제가 될 것입니다.
#저축은행실적 #2025금융지표 #우리금융저축은행 #하나저축은행적자 #KB신한저축은행감소 #부동산PF리스크 #충당금효과 #금융지주전략 #하반기경제전망
'경제 > 경제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격! 트럼프, 태국·캄보디아와 관세 협상 타결하며 휴전까지 이끌다" (6) | 2025.07.31 |
---|---|
OK금융그룹, 상상인저축은행 인수 협상 '난항': 매각가 이견으로 결렬 위기 (5) | 2025.07.31 |
트럼프의 '무역 지렛대' 외교 성공? 태국·캄보디아 휴전 중재 및 관세 협상 타결 (3) | 2025.07.31 |
상반기 ABS 발행 20% 급감: 주금공 MBS 축소 및 금융사 발행 감소, 부동산 PF는 '나홀로' 증가! (1) | 2025.07.31 |
🇺🇸 관세 협상, 일본 따라가기만 한 한국? 안철수의 '쓴소리' 분석 (5) | 2025.07.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