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지금 ‘원화 스테이블 코인’이 중요한가?
최근 여당이 원화 기반 스테이블 코인 발행을 법적으로 허용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가상자산, 디지털자산, 암호화폐... 용어는 다르지만 한 가지는 분명합니다. 블록체인 기술은 이제 실험을 넘어 현실이 되었고, 정부가 움직이고 있다는 건 그만큼 이 시장이 커졌다는 방증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다음 세 가지 궁금증을 중심으로 다룹니다:
- 원화 스테이블 코인이란 무엇이고 왜 필요할까?
- 디지털자산기본법의 핵심 내용은?
- 정부기관과 한국은행은 어떤 반응을 보이고 있을까?
원화 스테이블 코인이란 무엇일까?
‘스테이블 코인(Stablecoin)’은 말 그대로 가치가 안정적인 디지털 자산입니다. 일반적인 가상자산이 비트코인처럼 가격이 급등락하는 반면, 스테이블 코인은 특정 자산(대부분은 법정화폐)과 1:1로 연동되어 변동성이 적습니다.
즉, 원화 스테이블 코인은 1원 = 1코인처럼 원화에 연동되는 디지털 자산을 말합니다.
이것이 가능해지면, 디지털 자산 시장에서 원화를 손쉽게 전송하거나 거래에 활용할 수 있어 여러모로 유용해집니다.
디지털자산기본법 발의 – 핵심 포인트 정리
2025년 6월 10일, 더불어민주당 민병덕 의원이 ‘디지털자산기본법’을 대표 발의했습니다. 이 법안의 핵심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 원화 스테이블 코인 발행 허용 | 민간에서 원화를 기반으로 한 스테이블 코인 발행 가능 |
🏛️ 대통령 직속 디지털자산위원회 설치 | 디지털자산 정책을 총괄할 고위급 컨트롤타워 신설 예정 |
민 의원은 “디지털자산은 더 이상 실험이 아니라 제도권 안으로 들어와야 한다”고 강조하며, 미국, 유럽연합, 일본 등 주요국과의 격차를 우려했습니다.
정부와 한은의 대응 – '공식 인정'을 위한 준비
이번 발의안과 관련해 금융위원회도 빠르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2025년 하반기 입법을 목표로 자체 법안을 준비 중이며, 국정기획위원회와 조율이 시작될 예정입니다.
한국은행 역시 긴장한 모습입니다. 7월 1일에는 ‘스테이블 코인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 방안’이라는 주제로 공식 콘퍼런스를 개최합니다.
이런 일련의 움직임은 단순히 법 제정 그 이상입니다. 디지털자산의 ‘공식 통화 인프라’ 편입 가능성을 염두에 둔 큰 그림일 수 있습니다.
핵심 정리 – 이번 변화가 가지는 의미는?
- 원화 스테이블 코인이 법적 근거를 갖게 되면 신뢰도가 높아지고, 실제 결제나 송금 등 일상적인 금융 기능으로 확장될 수 있습니다.
- 정부 차원의 제도화는 투자자 보호, 자금세탁 방지, 금융 안정성 확보 측면에서 큰 의미가 있습니다.
- 한국도 국제 디지털 금융 경쟁에 본격 합류하게 됩니다.
마무리하며
이번 디지털자산기본법 발의는 단순한 ‘가상자산 시장 활성화’ 수준이 아닌, 한국 금융의 구조적 변화를 의미할 수 있는 출발점입니다. 앞으로 국회 논의와 관련 기관의 움직임을 주의 깊게 지켜봐야 할 때입니다.
'경제 > 경제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8만원 아꼈다!” – 대출 갈아타기 2년, 국민은 어떤 혜택을 받았나? (0) | 2025.06.10 |
---|---|
다시 돌아온 ‘주빌리은행’ – 연체자에게 희망을 주는 제도, 어떻게 바뀌나? (0) | 2025.06.10 |
“위기 오기 전에 막아라!” – 4대 금융의 ‘건전성 전쟁’ 시작됐다 (0) | 2025.06.10 |
“내년 예산 700조 돌파?” – 국채 금리와 금리 인하가 엮이는 이유 (0) | 2025.06.10 |
“우리 경제 기초체력 위기?” – 한국은행의 경고가 던지는 메시지 (0) | 2025.06.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