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원·달러 환율이 조금만 바뀌어도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중국 영향인가?" 하는 얘기가 나옵니다. 실제로 한국 원화가 중국 위안화와 ‘가장 많이 동조되는 통화’로 꼽혔다는 한국은행의 보고서가 나왔어요.
과연 왜 그럴까요? 자세히 들여다보겠습니다!
🌍 1. 원화, 전 세계 33개국 중 ‘위안화 동조화 1위’
한국은행이 16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원화는 기축통화 제외 33개국 통화 중 위안화와 가장 동조화가 강한 통화로 나타났습니다.
🇰🇷 한국 | 0.31 |
🇨🇱 칠레 | 0.22 |
🇲🇾 말레이시아 | 0.21 |
🇦🇺 호주 | 0.19 |
🧾 참고로 동조화 계수란?
환율이 같은 방향으로 얼마나 움직이느냐를 수치로 표현한 것!
📉 2. “절하될 때 더 민감해요” – 위안화 떨어지면 원화도 ‘출렁’
특히 원화는 절하(가치 하락)될 때 위안화와 더 밀접하게 움직이는 특징이 있어요.
- 위안화가 1% 하락하면 → 원화는 0.66%나 연동됨.
- 반대로 절상 국면에서는 의미 있는 관계 없음.
💬 쉽게 말해, 둘 다 같이 떨어질 때 더 ‘붙어 다닌다’는 얘기입니다.
🔗 3. 왜 이렇게 붙어 다닐까? 원화-위안화 ‘동조화’ 배경
📦 A. 무역 의존도
한국 전체 수출입의 약 20%가 중국과의 거래입니다.
중국 경제의 향방이 곧 한국 수출에 직결되니, 환율도 자연히 영향을 받는 구조죠.
💰 B. 투자 대체 수단
중국 외환시장은 폐쇄적이어서 외국인이 위안화에 직접 투자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원화를 ‘프록시(대리) 통화’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 중국 경제에 베팅하고 싶을 때 → 원화 자산에 투자
🇺🇸 4. ‘트럼프 관세’도 영향…동시에 타격받은 한·중
미국 트럼프 전 대통령이 보호무역을 강화하면서
한국과 중국 모두 대미 수출에 타격을 입었죠.
- 한국 대미 수출 비중: 18.7%
- 중국 대미 수출 비중: 14.6%
이로 인해 두 나라 통화가 함께 약세를 보였고, 동조화가 더 강해졌다는 게 한국은행의 분석입니다.
📊 5. 최근 시장 흐름은?
16일 기준, 원화는 5.8원 하락하며 1363.8원에 마감됐습니다.
이란-이스라엘 긴장 완화, 기술적 반락 등의 영향으로 분석됩니다.
같은 날 중국 위안화는 큰 변동 없이 마무리되면서,
단기적으로는 동조화가 느슨했던 하루였지만 전반적인 추세는 ‘연동성 강화’라는 점, 주의 깊게 볼 필요가 있습니다.
🧭 한은의 조언
"당분간 위안화 향방이 원화에 큰 영향을 줄 것"
"중국 환율과 정책 변화를 예의주시해야 한다"
✅ 마무리 요약
- 원화는 위안화와 가장 많이 동조화된 통화 (33개국 중 1위)
- 무역 구조 + 글로벌 투자자의 ‘프록시 전략’ 때문
- 절하(하락) 국면에서 연동성 더 강해져
- 미·중 무역정책 변화에 따라 환율 영향 지속 전망
'경제 > 경제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MZ세대가 요즘 돈 쓰는 건 이 신발?! 무신사, 29CM 검색량 폭발한 이유 (0) | 2025.06.16 |
---|---|
📢 “악성 민원에 무너진 교단”…2년 새 41% 늘어난 공무원 정신질환 재해 (0) | 2025.06.16 |
🍖 “돼지고기 40% 할인?” 정부, 460억 쏟아 '먹거리 물가' 잡는다! (0) | 2025.06.16 |
🏠 “모르고 산 집, 알고 보니 불법?”…‘근생 빌라 양성화’ 논란의 진실 (0) | 2025.06.16 |
🏘️ “집값 또 오를까?”…정부, 용적률·그린벨트·자투리땅까지 총동원한 이유 (0) | 2025.06.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