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뉴스

💱 “위안화 따라 출렁”…원화, 왜 이렇게 민감해졌을까?

by 그래도동 2025. 6. 16.
728x90
반응형
SMALL

최근 원·달러 환율이 조금만 바뀌어도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중국 영향인가?" 하는 얘기가 나옵니다. 실제로 한국 원화가 중국 위안화와 ‘가장 많이 동조되는 통화’로 꼽혔다는 한국은행의 보고서가 나왔어요.

과연 왜 그럴까요? 자세히 들여다보겠습니다!

 


 

🌍 1. 원화, 전 세계 33개국 중 ‘위안화 동조화 1위’

한국은행이 16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원화는 기축통화 제외 33개국 통화 중 위안화와 가장 동조화가 강한 통화로 나타났습니다.

국가위안화 동조화 계수
🇰🇷 한국 0.31
🇨🇱 칠레 0.22
🇲🇾 말레이시아 0.21
🇦🇺 호주 0.19
 

🧾 참고로 동조화 계수란?
환율이 같은 방향으로 얼마나 움직이느냐를 수치로 표현한 것!

 


 

📉 2. “절하될 때 더 민감해요” – 위안화 떨어지면 원화도 ‘출렁’

특히 원화는 절하(가치 하락)될 때 위안화와 더 밀접하게 움직이는 특징이 있어요.

  • 위안화가 1% 하락하면 → 원화는 0.66%나 연동됨.
  • 반대로 절상 국면에서는 의미 있는 관계 없음.

💬 쉽게 말해, 둘 다 같이 떨어질 때 더 ‘붙어 다닌다’는 얘기입니다.

 


 

🔗 3. 왜 이렇게 붙어 다닐까? 원화-위안화 ‘동조화’ 배경

📦 A. 무역 의존도

한국 전체 수출입의 약 20%가 중국과의 거래입니다.
중국 경제의 향방이 곧 한국 수출에 직결되니, 환율도 자연히 영향을 받는 구조죠.

💰 B. 투자 대체 수단

중국 외환시장은 폐쇄적이어서 외국인이 위안화에 직접 투자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원화를 ‘프록시(대리) 통화’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 중국 경제에 베팅하고 싶을 때 → 원화 자산에 투자

 


 

🇺🇸 4. ‘트럼프 관세’도 영향…동시에 타격받은 한·중

미국 트럼프 전 대통령이 보호무역을 강화하면서
한국과 중국 모두 대미 수출에 타격을 입었죠.

  • 한국 대미 수출 비중: 18.7%
  • 중국 대미 수출 비중: 14.6%

이로 인해 두 나라 통화가 함께 약세를 보였고, 동조화가 더 강해졌다는 게 한국은행의 분석입니다.

 


 

📊 5. 최근 시장 흐름은?

16일 기준, 원화는 5.8원 하락하며 1363.8원에 마감됐습니다.
이란-이스라엘 긴장 완화, 기술적 반락 등의 영향으로 분석됩니다.

같은 날 중국 위안화는 큰 변동 없이 마무리되면서,
단기적으로는 동조화가 느슨했던 하루였지만 전반적인 추세는 ‘연동성 강화’라는 점, 주의 깊게 볼 필요가 있습니다.

 


 

🧭 한은의 조언

"당분간 위안화 향방이 원화에 큰 영향을 줄 것"
"중국 환율과 정책 변화를 예의주시해야 한다"

 


 

✅ 마무리 요약

  • 원화는 위안화와 가장 많이 동조화된 통화 (33개국 중 1위)
  • 무역 구조 + 글로벌 투자자의 ‘프록시 전략’ 때문
  • 절하(하락) 국면에서 연동성 더 강해져
  • 미·중 무역정책 변화에 따라 환율 영향 지속 전망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