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뉴스

🏠 전세대출도 DSR 적용? 서울 집값 상승에 당국 ‘칼 빼들었다’

by 그래도동 2025. 6. 19.
728x90
반응형
SMALL

서울 집값이 다시 꿈틀대고 있습니다.
“아, 다시 전세대란 시작인가…” 싶던 찰나,
정부가 전세대출에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적용을 검토하겠다고 나섰습니다.

전세 대출 받으려면 이제 소득 대비 상환 능력도 봐야 할지도 모른다는 얘기죠.
이제까지는 서민 주거안정이라는 이유로 규제에서 빠져 있었던 전세대출, 과연 바뀌게 될까요?

 


 

💥 왜 전세대출까지 손보려고 할까?

이유는 명확합니다.
서울 집값이 빠르게 오르고 있기 때문.

그리고 이 상승세엔 DSR이 적용되지 않는 전세대출이 적잖은 역할을 했다는 게 금융당국의 분석입니다.
전세대출이 막히지 않으니 전세금이 오르고,
그 돈으로 갭투자가 이뤄지며 매매가까지 끌어올리는 구조가 반복됐죠.

금융당국은 이를 “악순환”이라 표현하며,
이제는 정책모기지·전세자금도 DSR 잣대를 들이대야 할 때라고 판단한 것으로 보입니다.

 


 

📉 DSR이 뭔데 이렇게 중요한가요?

간단히 말해,
내가 버는 돈 대비 빚 갚을 여력이 얼마나 되느냐를 따지는 기준입니다.

📌 DSR = (모든 대출의 원리금 상환액) ÷ (연소득)

📍 은행권 기준 상한선은 40%

지금까지는 전세대출과 정책모기지는 이 규제 대상에서 빠져 있었는데,
이젠 예외 없이 넣을 수도 있다는 겁니다.

 


 

💡 동시에 금융시장 변화도 예고

이번 금융위 보고에서 눈여겨볼 또 다른 포인트는 아래와 같습니다:

  • 현물 가상자산 ETF 도입: 비트코인 ETF가 현실화될 수 있음
  • 스테이블 코인 규율 체계 마련
  • 국민참여형 ‘국민펀드’ 조성: AI·반도체 등 첨단산업 투자용
  • 불공정거래 조사 강화

특히 국민펀드는 국민 세금이나 기금을 단순히 쓰는 게 아니라,
엔비디아, TSMC 같은 대형 기술기업을 키우고 투자 수익을 국민에게 돌리겠다는 구상입니다.
싱가포르의 테마섹이 모델이죠.

 


 

🧠 핵심 요약

  • 서울 집값 상승으로 전세대출에도 DSR 규제 적용 검토 중
  • 전세대출은 지금까지 규제 예외였지만, 과잉공급 → 갭투자 → 집값 상승 구조로 지목됨
  • 금융위는 가계부채를 연 3.8% 이내로 관리하겠다는 목표 발표
  • 가상자산 현물 ETF, 국민펀드, 스테이블코인 규제, 불공정거래 조사 강화 등 굵직한 개편도 함께 예고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