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뉴스

🔥 “소상공인금융공사 설립하자” 은행권의 요구…왜 지금일까?

by 그래도동 2025. 6. 24.
728x90
반응형
SMALL

이재명 정부가 출범하자마자, 은행권이 한 목소리로 강하게 요청한 것이 있다.
바로 ‘소상공인금융공사’ 설립이다.

그 이름만 보면 단순히 또 하나의 지원기관 같지만,
이 안에는 자영업 과잉 구조에 대한 경고금융 생태계 개편이라는
중대한 메시지가 숨어 있다.


🏦 왜 은행들이 나서서 '소상공인금융공사'를 만들자고 하나?

은행연합회가 국정기획위원회에 제출한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소상공인을 돕는 기관은 많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 역할이 분산돼 있음 → 종합적 지원 불가
  • 기관별로 중복된 업무비효율 증가
  • 전문성 부족, 책임 불분명

👉 결론: 현행 시스템으론 효율적 지원도, 지속가능한 성장도 어렵다는 것.


🧩 ‘소상공인금융공사’는 뭐가 다를까?

은행연합회는 이 공사가 다음과 같은 기능을 통합하자고 제안했어:

기능설명
💰 대출 직접 대출 + 정책자금 통한 간접 대출
🛡️ 보증 신보·기보·지역재단 기능 통합
📊 컨설팅 업종별·지역별 맞춤 진단, 창업 자문 등
📉 리스크 관리 ‘좀비 자영업자’ 방지 위한 업종·상권 평가 기반 차등 보증
 

🔍 “실제 소상공인이 필요한 모든 것을 한 곳에서!”
은행이 강조한 핵심은 바로 ‘토탈 솔루션’ 기관이야.


📉 현실은? 과잉 지원, 좀비 자영업 양산

  • 작년 은행이 보증기관에 낸 출연금: 약 3조원
    • 2021년 대비 47% 증가
    • 하지만 효과는 의문
  • 요식업·편의점·프랜차이즈 창업무분별하게 반복
  • 제대로 된 상권 분석·위험 예측 없이 지원이 쏟아짐

👉 결과: 자영업자 수는 늘어도, 생존율은 하락


💥 “보증도 차등하자”는 요구까지

은행권은 이렇게 주장해:

모든 자영업자에게 똑같이 보증을 주지 말자.
업종별 리스크, 상권의 경쟁 강도 등을 평가해
보증료율 차등 적용이 필요하다.”

이건 ‘건강한 자영업 생태계’를 위한 디테일한 정책 제안이라 할 수 있어.


🪙 가상자산업계도 한마디: “금가분리 풀어줘!”

같은 날, 가상자산업계도 규제 완화를 요구했다.

  • 현재는 은행이 비금융사 지분 15% 이상 보유 불가
  • 그래서 핀테크나 가상자산기업과 협업이 어렵다
  • 미국처럼 자회사 형태나 소수주주로 진출 허용해달라는 요구

💬 “전통 금융의 참여 없이는 가상자산도 미래 없다” – 코빗리서치센터


🔍 브로를 위한 요약 정리

핵심 이슈요약
🔨 소상공인금융공사 제안 대출·보증·컨설팅 통합, 실효성 있는 ‘통합기관’ 필요
⚠️ 현 지원 시스템 문제 역할 분산, 전문성 부족, 무분별한 창업 조장
💡 은행의 해법 보증 차등 적용 + 업종·상권 분석 기반 지원
💰 가상자산 규제 이슈 금가분리 완화로 전통 금융과 협업 허용 필요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