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 핵심 요약
- 트럼프, 한국을 “부유한 나라”로 지목하며 주둔비용 추가 부담 요구
- 잘못된 주한미군 규모(4.5만명→실제 2.8만명) 언급하며 압박 수위↑
- “한국은 연 100억 달러(약 13조7,000억 원) 내야”라던 과거 발언 재차 강조
- 미국은 나토처럼 GDP 대비 5% 국방비 분담 요구…한국은 현재 2.32%
- 무역(관세)·안보(방위비) 패키지로 협상 지렛대 극대화
1️⃣ “부자 국가라면 방위비도 내라”
트럼프 대통령은 8일 내각회의에서 한국을 “돈을 많이 버는 아주 부유한 나라”라고 치켜세운 뒤,
“한국은 자국의 군대를 위해 스스로 더 많이 지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주한미군 추가 비용 부담을 압박하는 메시지로 해석된다.
2️⃣ “4만5000명 주한미군” 오류까지 동원한 압박
대통령은 주한미군 규모를 4만5,000명이라고 잘못 언급했다.
- 실제 주한미군은 약 2만8,000명
- 오류를 통해 “한국이 부담해야 할 몫”을 과대 포장하려 한 셈
3️⃣ “연 100억 달러”라는 마지노선
트럼프는
“예전에 나는 한국이 연 100억 달러를 내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재차 강조했다.
바이든 행정부가 합의한 내년 분담금(1조5,192억원)의 9배에 달하는 금액이다.
4️⃣ 나토式 5% 기준 적용 노림수
트럼프의 방위비 요구는 나토 회원국들에게 제시한
“GDP의 5%만큼 국방비 분담”
기준과 일맥상통한다.
- 한국은 현재 GDP 대비 국방지출 2.32%
- 나토 기준대로라면 2배 이상 부담해야 한다는 압박
5️⃣ “무역·안보 패키지” 전략의 내막
- 전날 한국·일본에 25% 관세 통보
- 이튿날 곧바로 방위비 재협상 거론
- 정상회담 전 청구서 뭉치기로 협상력 극대화
위성락 실장의 워싱턴 방문과 한미 정상회담 조기 개최 공감대 속,
트럼프는 무역·안보를 한 묶음으로 압박하며 한국에 지렛대를 최대한 활용 중이다.
인사이트
- 한국은? 방위비 협상·관세 논의 양면전략 필요
- 정부·외교: 무역·안보 분리 대응…“협상 테이블 지켜내라”
- 투자자: 불확실성↑…한미 관계 모멘텀 주시
“트럼프가 내민 청구서, 어떻게 대응할지가 한국에겐 실전 과제다!”
728x90
반응형
LIST
'경제 > 경제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연금 대신 매도” 5월 주택연금 급감...집값 폭등에 실버 투자법이 바뀌었다 (0) | 2025.07.09 |
---|---|
🚀 애플의 ‘2인자’ 윌리엄스 COO 퇴진…팀 쿡 후계 구도 급부상! (0) | 2025.07.09 |
🚫 “주가조작하면 끝장!” 자본시장 교란 원스트라이크 아웃 시대 열린다 (0) | 2025.07.09 |
💵 “트럼프의 달러 흔들기”, 국내 증시에 기회일까 위기일까? (0) | 2025.07.09 |
🌪️ “AI 인재 블랙홀”…메타가 빼앗은 SSI 창업자, 수츠케버가 CEO로 복귀한 이유 (0) | 2025.07.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