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 핵심 요약
- 올 상반기 달러지수 10.7% 폭락…1973년 이래 최대 반기 낙폭
- 트럼프 정부의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BBBA) 시행으로 재정적자 3조 달러↑ 전망
- 파월 의장에 대한 금리인하 압박이 약달러 현상 부채질
- 원·달러 환율 하락 덕분에 외국인 순매수 급증(5월·6월 합 4조원 이상)
- 과거 약달러 시기 신흥국 자산 대폭 랠리…하지만 美 경쟁국 부재가 변수
1️⃣ “달러, 왜 이렇게 약해졌나?”
- 달러지수: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 가치
- 1월13일 110.18 → 6월말 96.87 (–12.06%)
- 격변의 배경:
- OBBBA 감세안 시행 → 향후 10년간 재정적자 3조 달러↑
- 파월 의장 금리인하 압박: “인플레이션 없다” vs. “국채 상환비 커진다”
2️⃣ 약달러의 ‘단기 호재’, 외국인 매수 급증
- 1~4월 외국인 17조원 순매도 → 5월·6월 4조원 순매수
- 원·달러 환율 하락(원화 강세) → 외국인 입장에선 한국株 더 싸게 보이니 매수
3️⃣ 과거 약달러가 불러온 자산 랠리
- 1973년 약달러 → 원자재 10배 급등
- 1986년 약달러 → 일본·한국 등 제조업 신흥국 자산 10배 상승
- 2002년 약달러 → 브라질·러시아 등 원자재 신흥국 자산 10배 급등
4️⃣ 그러나…“이번엔 다를 수 있다”
- 과거엔 일본·중국이 달러 약세 견인
- 현재 미국 압도할 경쟁국 부재 → 달러는 ‘감내 가능한 약세’에 그칠 공산
- 지속적 약달러엔 한계가 있다는 분석도 만만치 않다.
5️⃣ 브로의 인사이트: 기회인가, 함정인가?
- 단기 vs. 중장기: 지금은 외국인 자금 유입 호재지만, 미국 재정위기·금리정책 변화가 추가 약세를 불러올지 주시
- 환율 리스크 관리: 원화 강세로 수익 난다면, 환차손 리스크 대비한 헤징 전략 필요
- 포트폴리오 분산: 신흥국 랠리 기대하되, 미국·글로벌 채권·원자재 등 대체 자산에도 눈 돌려야
결론:
트럼프의 과감한 재정·금리 정책이 불러온 역대급 약달러는 당장은 한국 증시엔 단기 호재지만, ’감내 가능한 수준’을 넘어설 경우 글로벌 금융시장에 변동성을 더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
LIST
'경제 > 경제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한국은 부자 국가…방위비 더 내라!” 트럼프의 ‘청구서’ 발송 전략 (0) | 2025.07.09 |
---|---|
🚫 “주가조작하면 끝장!” 자본시장 교란 원스트라이크 아웃 시대 열린다 (0) | 2025.07.09 |
🌪️ “AI 인재 블랙홀”…메타가 빼앗은 SSI 창업자, 수츠케버가 CEO로 복귀한 이유 (0) | 2025.07.08 |
🚗 “젊은 층은 차보다 공유!” 20·30代 신차 비중 10년 만에 최저, 고령층은逆급증 (0) | 2025.07.08 |
💥 “한국 브랜드 무덤”이었던 中시장, 무신사가 깬다! (0) | 2025.07.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