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뉴스

📵 “링크 클릭 금지!” 상반기 스미싱 37%는 ‘개인정보 수집’ 사칭

by 그래도동 2025. 7. 9.
728x90
반응형
SMALL

🔑 핵심 요약

  • 상반기 접수된 스미싱 3만7,000건 중 37%가 개인정보 유출·수집 사칭
  • 이어 △금융기관 사칭(19%) △기업·광고 사칭(18%) △청첩·부고 등 지인 사칭(12%)
  • 주된 문구: “계정 해킹 차단을 위해 클릭하라”, “환급금 확인”
  • 입시·건강검진·이벤트 당첨 등 관심사 노린 맞춤형 유인 기승
  • KISA 권고: 출처 불명 링크 클릭 금지·주소 확인·개인정보 입력 주의

1️⃣ 스미싱 1위 ‘개인정보 유출·수집’ 사칭

  • 비중 37%로 압도적 1위
  • 대표 문구
    • “계정이 해킹됐으니 차단을 위해 링크를 클릭하세요”
    • “계정에 불안정 활동이 감지되었습니다. 보안 인증 완료”
    • “개인정보 인증이 필요합니다”
  • 이용자의 불안감을 자극해, 무심코 링크 클릭 유도 브로!

2️⃣ 금융기관 사칭도 여전…‘환급금 확인’ 주의

  • 19% 비중 차지
  • “승인되지 않은 거래 발생”, “환급금을 확인하세요”
  • 은행·카드사 명칭 직접 언급, 피싱 사이트·전화번호로 연결
  • 브로, 내 계좌 숫자 다 빼갈라…절대 반응 금지!

3️⃣ 기업·광고·지인까지…스미싱 진화는 계속된다

  • 기업·광고 사칭(18%):
    • “무료 쿠폰 도착!”, “이벤트 당첨 안내”
    • 배송조회·쿠폰 링크 클릭 유도
  • 지인 사칭(12%):
    • 청첩장·부고 위장, 업무·가족·지인인 척 접근
  • 단속 사칭(10%):
    • 과태료·범칙금 고지 문구로 긴급성 강조
  • 입시·건강검진 등 타이밍 맞춰 맞춤형 스미싱 기승

4️⃣ KISA가 전하는 예방 3대 수칙

  1. 출처 불명 사이트 주소는 클릭 금지, 즉시 삭제
  2. 주소가 정상 URL과 일치하는지 반드시 확인
  3. 개인정보(휴대폰 번호·아이디·비밀번호)는 신뢰할 수 있는 곳에만
    • 인증번호는 모바일 결제 연동될 수 있으니 각별히 주의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