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뉴스

“6·27 대책 후 서울 최고가 거래 74%↓…매수심리 ‘뚝’”

by 그래도동 2025. 7. 14.
728x90
반응형
SMALL

🔑 핵심 요약

  • 서울 최고가 거래 74% 급감: 대책 전 2주 1,141건→대책 후 2주 300건
  • 강남 3구 직격탄: 성동구 84%, 마포구 87%, 강동구 80% 급락
  • 투자·실수요 관망 전환: 고강도 대출 규제→‘버티기’ 매수세 멈춤
  • 수요 분산 가능성: 외곽·경기권 대체지 주목 필요

1️⃣ 6·27 대책 직후 ‘거래 절벽’

  • 대책 전(6/13~6/26):
    • 전체 거래 4,693건 중 최고가 거래 1,141건(24.3%)
  • 대책 후(6/27~7/10):
    • 전체 거래 1,312건 중 최고가 거래 300건(22.9%)→절반 이하

“대출 한도 축소와 전세대출 금지 발표 후 매수 문턱이 높아지자 거래가 사실상 멈춰 섰다” – 직방 빅데이터랩실

2️⃣ 구역별 ‘뚝뚝’ 끊긴 최고가 거래

자치구대책 전 거래대책 후 거래감소율
성동구 139 → 22 –84%  
마포구 137 → 18 –87%  
강동구 116 → 23 –80%  
강남구 112 → 41 –63%  
서초구 37 → 9 –76%  
송파구 64 → 27 –58%  
 
  • 대단지 예시
    • 성동 ‘텐즈힐2’ 최고가 7건→2건
    • 마포 ‘공덕자이’ 5건→0건

“핵심 입지일수록 더 민감하게 반응했다”

3️⃣ 눌린 매수 심리, 공급지도로 분산

  • 투자수요 멈춤: 대출 한도·전세 대출 금지로 레버리지 축소
  • 실수요자도 관망: ‘최저금리·최고가’ 트레이드오프 부담 확대
  • 대체지 가격 자극 우려: 경기·외곽 전세가 저층 단지로 수요 이동 가능

“입지 경쟁력 있는 비강남권은 단기 반등 신호 포착 필요” – 직방

4️⃣ 시사점 & 대응 포인트

  1. 추가 규제 효과
    • 추가 대출 규제 예고 시 거래 동결 장기화
  2. 수요 분산 모니터링
    • 경기권·외곽 인기 단지 실거래 분석 강화
  3. 가격 조정 vs 관망 심리
    • 호가와 실거래 간 괴리 확대 여부 주시
  4. 금리 움직임 연계
    • 금리 인하 기대→수요 재유입 가능성

🔍 인사이트

  • “거래량 회복 없이 최고가 거래 비중만 증가하면 ‘똘똘한 한 채’ 집중 가능성”
  • “단기 숨고르기 끝나면 잔여 매물 소진 속도에 따라 반등 탄력 달라질 것”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