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뉴스

이재명 정부,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율 대폭 상향 예고

by 그래도동 2025. 7. 16.
728x90
반응형
SMALL
반응형

🔑 핵심 요약

  • 이재명 대통령 지시: 국무회의서 “탄소배출권 거래제 확대 강화” 직접 주문
  • 유상할당 현재 10% → 상향 검토: 9월 발표될 ‘제4차 할당계획’에 반영 전망
  • 기업 비용 부담 ↑: 철강·석유화학·운송업 등 배출 집약 산업 직격탄
  • 전기료 인상 압력: 발전사 배출권 구매비용 전가로 제조 원가 상승 우려
  • 산업계 요청: 단계적 상향·인센티브 중심 제도 설계 필요

1️⃣ 대통령 지시: “확대 강화해야 할 것 같다”

  •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6일째인 6월 10일 제25차 국무회의에서 환경부 보고를 받으며
    • “재설계는 검토하더라도 최소한 확대 강화는 해야 할 것 같다”고 발언
  • 현재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율은 전체의 10%
  • 정부는 9월 발표할 ‘제4차 배출권 할당계획’에 이른바 ‘확대 강화’ 의지를 담을 계획

2️⃣ 유상할당 상향의 메커니즘

  • 무상할당(90%) + 유상할당(10%) → 유상할당 비중을 높이면
    1. 기업이 시장에서 배출권을 구매해야 하는 물량 증가
    2. 배출권 가격 상승이 기업의 생산비용에 직결
  • 발전부문은 ‘환경급전제도’ 덕에 배출권 구매비용을 전기료로 전가 가능
728x90

3️⃣ 산업계 직격탄

업종우려 요인
철강·석유화학 기초소재 생산 원가 급등 → 下游 산업 경쟁력 약화
운송업 물류비 부담 심화
발전부문 배출권 비용 전가 → 전기료 인상 → 제조원가 인상
 
  • 에경연 추정
    • 유상할당 25% 시: 제조업 전기료 연 1.3조원↑
    • 50% 시: 연 5.1조원↑
    • 100% 시: 연 21.0조원↑

4️⃣ 물가 부담 및 정책 딜레마

  • 이 대통령도 “물가상승 부담은 국민이 지는데, 재정 지원은 없는지” 검토 지시
  • 급격한 유상할당 상향은 물가→임금 연쇄 압력을 불러올 수 있어 정부 고민

5️⃣ 업계 요청: “인센티브 중심·단계적 상향을”

  • 단계적 상향: 급격한 비용 충격 대신 중장기 목표 설정
  • 인센티브 제공:
    • 저탄소 설비 전환 시 투자 비용 일부 보조
    • 감축 실적에 따른 추가 혜택
  • 출구 전략 필요: 기업이 투자를 감행할 명확한 로드맵 제시
SMALL

6️⃣ 시사점

  • 탄소중립 기조 강화 vs 산업 경쟁력 보호 사이 균형 필요
  • 9월 발표될 4차 할당계획이 향후 10년 산업지형을 가를 ‘분기점’
  • 기업·소비자 모두 대비가 요구되는 ‘새 시대 정책 변화’

“탄소감축도 중요하지만, 너무 가파른 과속은 산업 전선에 치명타를 입힐 수 있습니다. 정부의 섬세한 설계가 절실한 시점입니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