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뉴스

석유화학단지 전기료 10~12% 인하 요청…‘生死 기로’ 내몰린 여수·울산·대산”

by 그래도동 2025. 7. 20.
728x90
반응형
SMALL

핵심 요약

  • 전남·산단 입주사 요청: 여수·울산·대산석유화학단지 입주기업들이 산업용 전기료(㎾h당 182.7원)를 160~165원으로 10~12% 인하해달라고 정부에 공식 건의
  • ‘산업위기 선제 대응지역’ 지정 연계: 대출 확대·고용지원금 등에 더해 ‘전기료 감면’도 지원 패키지에 포함해달라는 것이 골자
  • 5000억 원 규모 혜택 예상: 여수산단만 해도 연간 절감액이 2000억 원, 울산·대산까지 합치면 최대 5000억 원 지원 효과
  • 중국 저가 공세·출혈 경쟁: 지난해 롯데·LG·한화 등 4대 석화사 모두 대규모 적자, 가동률 70%대로 추락하며 지역 경제·고용에 치명타
반응형

왜 전기료를 깎아달라고 하나?

  1. 中 저가 공세에 무너지는 수익성
    • 중국·중동산 저가 나프타·제품이 밀려와 국내 석화사 줄줄이 대규모 적자(롯데케미칼 ‑8,941억·LG화학 ‑5,632억 등)
    • 가동률 70%대로 내려앉고, 지역 고용·세수의 반 토막 위기
  2. 전남 경제 ‘생존 위기’
    • 여수산단 제조업 생산액의 65%, 세수의 60% 차지
    • 실업자 2만→6만 명 급증…‘산업위기 선제 대응지역’ 지정을 통한 긴급 지원 필요
  3. 전기료 부담이 ‘발등의 불’
    • 지난해 10% 인상된 산업용 전기료(㎾h당 182.7원)로 2조 원대 전기요금 부담
    • 10%만 내려도 연간 2000억 원 절감, 울산·대산 포함 시 5000억 원 지원 효과

정부 입장은?

  • “형평성·한전 재정 부담” 이유로 난색
  • 철강·자동차 등 타 산업과의 형평성과, 전체 산업용 전기 사용량의 15%를 쓰는 석화단지 특혜 우려
  • 대신 기술 혁신·친환경 공정 전환을 통한 근본 경쟁력 강화 주문

업계 반응 및 과제

  • “태풍만큼 위기”라던 여수공장장들
  • “지금 당장 살아남는 게 우선…원가 절감이 답”
  • 지역경제 실증 데이터로 “전기료 인하 없이는 고용·투자도 멈춘다” 설득 작업
728x90

결론: 산업 위기지역 지원 패키지에 ‘전기료 감면’도 추가될 수 있을까?
중국발 공급 과잉에 직격탄을 맞은 국내 석유화학단지. 산업위기 선제 대응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전기료 10~12% 인하’ 요구가 터져 나왔습니다. 정부가 이 요청을 수용하면, 단지 세 곳에 걸쳐 연간 수천억 원대의 ‘숨통’ 지원이 가능해집니다. 반면 다른 산업과의 형평성, 한국전력의 재정 부담 등 넘어야 할 난관도 적지 않습니다.
석화단지 공장장들의 한숨이 “차라리 태풍이 낫다”는 탄식으로 이어질 만큼 위중한 상황에서, 전기료 감면을 포함한 종합 지원책이 국회·정부의 ‘산업위기 대책’에 들어갈지 주목됩니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