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뉴스

중견·중소기업, ‘대기업 전초기지’로 전락하다: 임금 격차·열악한 근무 환경이 키운 인력 유출 위기

by 그래도동 2025. 7. 23.
728x90
반응형
SMALL

핵심 요약

  • 임금 격차 심화: 대기업 대비 중소·중견기업 근로자 월평균 임금이 절반 수준
  • 근무 환경 열악: 연차 사용 불가, 과도한 업무 스트레스가 일상
  • 좀비기업 급증: 영업이익으로 이자조차 못 버티는 기업 비중 40.9%
  • 제도적 지원 부족: 장기근속·성과보상 인센티브는 ‘내일채움공제’ 외 미미

1. 임금 격차가 부른 ‘탈(脫)중견·중소’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15년 중소기업 근로자의 월평균 급여는 238만 원이었지만, 2023년에는 298만 원으로 올랐습니다. 반면 대기업 근로자는 같은 기간 432만→593만 원으로 뛰었는데, 격차가 194만 원에서 295만 원으로 더 벌어진 셈입니다.

  • 30대 근로자: 대기업(551만 원) vs 중소기업(310만 원) → 1.8배 차이
  • 50대 근로자: 대기업(772만 원) vs 중소기업(345만 원) → 2.2배 차이

이런 임금 차이는 경력 1~2년차 연구원조차 네이버·카카오 등 ‘빅테크’로 이직을 결심하게 만듭니다.


2. 연차도 마음대로 못 쓰는 ‘만성 과로’

중견기업 A사의 인사담당자는 “과도한 업무량 탓에 직원이 연차를 쓰면 남은 인력이 부담을 떠안을 수밖에 없다”며 “결국 휴가마저 맘 놓고 못 간다”고 전합니다.

  • 주요 이직 사유(복수응답):
    1. 금전 보상 부족(61.5%)
    2. 업무 과중(32.7%)
    3. 낮은 성과 평가(27.4%)
    4. 회사 실적 부진(26.6%)

3. ‘좀비기업’ 비율 40% 돌파

한국은행 집계에 따르면, 2023년 이자비용도 못 버티는 이른바 ‘좀비기업’ 비중이 40.9%로 껑충 뛰었습니다. 중소·중견기업이 연구개발·설비투자에 쓸 여력이 갈수록 줄어드는 구조입니다.


4. 정부 지원 제도의 한계

  • 내일채움공제: 1200만 원 목돈 마련 지원에도, 대기업 이직 유인을 막기엔 역부족
  • RSU(성과조건부주식): 글로벌 추세지만 국내 과세 문제가 장벽
  • 주거·교통비 지원: 일부 지자체별 소규모 시행

노민선 중기연 연구위원은 “근로자가 ‘일하고 싶은 환경’을 만드는 제도적 뒷받침이 시급하다”고 강조합니다.


인사이트 및 제언

  1. 임금·세제 인센티브 확대
    • 중견·중소기업 장기 근속자에 대한 임금인상분 세액공제 도입
    • RSU에 비과세 또는 저율과세 혜택 부여
  2. 근무 환경 혁신
    • 유연근무 바우처 지급으로 중견·중소기업의 재택·탄력 근무 확산
    • 고용부 주기적 연차 사용 점검 및 인센티브 제공
  3. 주거·생활비 지원 강화
    • 월세·교통비 보조 프로그램 확대, 청년·중견 근로자 정착 유도
  4. 맞춤형 교육·채용 지원
    • 지역 대학·훈련기관과 협업한 직무 맞춤 교육 후 즉시 채용
    • ‘내일채움공제 2.0’로 저축 유인 강화, 목돈 마련 규모 상향
  5. R&D 인력 확보
    • 연구전문가 채용 세액공제 확대
    • 산학연계 훈련·채용 패키지로 현장 적응력 제고

중견·중소기업이 “대기업 전초기지”로 전락하지 않도록, 정부·노조·기업이 손잡고 임금·환경·정착 3대 과제를 풀어내야 합니다. 정책과 제도로 진정성 있는 ‘일하기 좋은 중견·중소기업’ 생태계를 만들어낼 때, 우리 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 동력이 뿌리내릴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