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더 피곤하고 고독해졌다? 5년 만에 줄어든 수면 시간, 늘어난 '혼밥'
잠은 줄고, 외로움은 늘고…씁쓸한 대한민국의 일상 대한민국 국민들의 하루가 5년 전보다 더 피곤하고 고...
blog.naver.com
잠은 줄고, 외로움은 늘고…씁쓸한 대한민국의 일상
대한민국 국민들의 하루가 5년 전보다 더 피곤하고 고독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국민 평균 수면 시간이 통계 조사 이래 처음으로 감소했고, 밤잠을 설치는 사람들의 비율은 더욱 높아졌죠. 특히 취업난에 시달리는 20대 세 명 중 한 명은 점심 식사를 '혼밥'으로 해결하는 것으로 조사돼 사회적 고립감이 커지고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024년 생활시간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민들은 하루 24시간 중 필수 활동(수면, 식사 등)에 11시간 32분, 의무 시간(가사노동, 학습, 일 등)에 7시간 20분, 그리고 여가시간에 5시간 8분을 할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조사는 1999년부터 5년마다 전국 약 2만 5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됩니다.
인사이트: 줄어든 수면 시간과 '잠 못 이루는 밤'의 증가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국민들의 평균 수면 시간 감소입니다. 1999년 7시간 47분에서 2019년 8시간 12분까지 꾸준히 늘어왔던 평균 수면 시간은 지난해 8시간 4분으로, 5년 전보다 8분 줄어들었습니다. 이는 1999년 조사를 시작한 이래 첫 감소 기록입니다. 모든 연령대에서 수면 시간이 줄었으며, 특히 50대가 7시간 40분으로 가장 적게 잠을 자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요일별로 보면 평일 수면 시간은 7시간 45분, 토요일은 8시간 31분, 일요일은 8시간 49분으로 주말에 잠을 더 자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흥미로운 점은 가장 늦게 잠드는 연령대가 20대(0시 37분)였다는 것이고, 가장 이른 시각에 일어나는 연령대는 60세 이상(5시 56분)이었다는 점입니다.
수면 시간 감소와 더불어 '잠 못 이룬 사람'의 비율도 모든 연령층에서 증가했습니다. 국민 평균 10명 중 1명(11.9%)이 잠을 제대로 자지 못한다고 답했으며, 이들이 잠 못 이룬 시간은 평균 32분으로 집계됐습니다. 특히 60세 이상은 5명 중 1명꼴(19.6%)로 가장 많았고, 50대도 11.1%로 뒤를 이어 고령층의 수면의 질 문제가 심각함을 보여주었습니다.
'혼밥'의 일상화: 특히 2030세대의 고립감 심화
하루 세끼 식사에 쓰는 시간은 평균 1시간 23분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식사의 '질'보다는 '혼자 밥 먹는 비율'이 높아진 것이 특징입니다. 아침 식사는 41.7%, 점심 식사는 26.9%, 저녁 식사는 25.7%가 '혼밥'을 한다고 응답했습니다.
특히 젊은 층에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졌습니다. 2019년과 비교했을 때, 30대의 아침 혼밥 비율은 36.7%에서 45.5%로 급증했습니다. 점심 식사의 경우, 20대의 혼밥 비율이 26%에서 32.1%로 6.1%포인트 늘어 취업난을 겪는 젊은 세대의 고립감을 엿볼 수 있게 했습니다. 저녁 식사에서도 20대가 30.6%에서 34.8%로, 30대가 17.3%에서 25%로 혼밥 비율이 증가했습니다.
이번 생활시간조사 결과는 단순히 개인의 수면이나 식습관 변화를 넘어, 치열한 사회 속에서 국민들이 느끼는 피로감과 외로움이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사회 전반적으로 건강한 수면 환경을 조성하고, 세대별 고립감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시급해 보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2024년 생활시간조사'는 어떻게 진행되었나요?
A1: 통계청이 전국 1만 2,750개 표본 가구에 상주하는 10세 이상 가구원 약 2만 5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했습니다. 이 조사는 1999년부터 5년마다 진행됩니다.
Q2: 국민 평균 수면 시간이 줄어든 것이 이번이 처음인가요?
A2: 네, 1999년 조사를 시작한 이래 평균 수면 시간이 감소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2019년까지는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였습니다.
Q3: 어떤 연령대에서 수면 시간이 가장 적었나요?
A3: 50대(7시간 40분)가 모든 연령대 중 평균 수면 시간이 가장 적었습니다.
Q4: '혼밥' 비율이 가장 많이 늘어난 연령대는 어디인가요?
A4: 아침 식사의 경우 30대의 혼밥 비율이 크게 늘었고, 점심과 저녁 식사의 경우 20대와 30대의 혼밥 비율이 유의미하게 증가했습니다. 특히 20대의 점심 혼밥 비율이 6.1%포인트 증가한 것이 특징입니다.
Q5: '잠 못 이룬 사람'의 비율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어디인가요?
A5: 60세 이상이 19.6%로 가장 높았으며, 50대가 11.1%로 뒤를 이었습니다. 국민 평균적으로는 10명 중 1명 이상이 잠에 제대로 들지 못했습니다.
#생활시간조사 #수면시간 #혼밥 #사회적고립 #피로도 #통계청 #대한민국 #20대혼밥 #수면부족 #건강 #사회문제 #삶의질
'경제 > 경제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여행 '필수템' 된 여행자보험, 무사고 환급부터 DIY까지! (5) | 2025.07.28 |
---|---|
💰 금융권 '이자놀이' 탈피, 생산적 금융 확대 방안 총정리|이재명 정부 금융개혁 드라이브 (7) | 2025.07.28 |
2025년 세제개편안 요약|법인세·배당세·증권거래세 모두 변화 예정 (1) | 2025.07.28 |
K-팝, K-뷰티는 뜨는데…'역직구' 시장은 왜 꽁꽁 묶였나? (4) | 2025.07.28 |
두산밥캣, 북미 시장 회복 기대감에 목표주가 상향…미국 관세 수혜 전망 (1) | 2025.07.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