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팝, K-뷰티는 뜨는데…'역직구' 시장은 왜 꽁꽁 묶였나?
외국인이 한국 쇼핑몰에서 쇼핑하기, 아직은 '넘사벽' K-팝, K-뷰티 등 한국 상품이 전 세계적...
blog.naver.com
외국인이 한국 쇼핑몰에서 쇼핑하기, 아직은 '넘사벽'
K-팝, K-뷰티 등 한국 상품이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지만, 정작 외국인들이 한국 쇼핑몰에서 직접 물건을 사는 '역직구' 시장은 좀처럼 성장하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어요. 28일 한국은행 보고서에 따르면, 회원가입부터 결제까지 외국인의 구매를 가로막는 장애물들이 여전히 많다는 지적입니다.
한국은행이 통계청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국내 온라인 쇼핑 거래액은 2017년 94조 2천억 원에서 2024년 254조 4천억 원으로 엄청나게 늘었지만, 같은 기간 외국인의 역직구는 6천억 원에서 1조 6천억 원 증가하는 데 그쳤어요. 전체 온라인 쇼핑 거래액에서 역직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고작 0.6%대에 머물고 있는 거죠.
반면, 한국인들이 해외에서 직접 물건을 구매하는 '직구' 금액은 크게 늘었어요. 2017년 2조 2천억 원에서 지난해 8조 1천억 원으로 껑충 뛰었죠. 이는 역직구액(1조 6천억 원)의 무려 5배에 달하는 규모입니다. 한국 제품에 대한 전 세계적 관심에 비해 역직구 시장이 너무나 더디게 성장하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인사이트: '본인 인증'과 '결제 수단'의 벽을 허물어야
한국은행은 역직구 시장이 저조한 가장 큰 이유로 국내 이커머스 플랫폼의 이용 편의성 문제를 꼽았어요. 외국인들이 한국 쇼핑몰을 이용할 때 마주하는 주요 장벽들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볼까요?
- 회원 가입의 어려움: 많은 국내 쇼핑몰은 회원 가입 시 엄격한 본인 인증 절차를 요구합니다. 국내에서 개통된 휴대폰, 신용카드, 아이핀 인증 등이 필수적이죠. 반면 해외 플랫폼들은 이메일 주소만으로도 쉽게 가입할 수 있어 접근성이 훨씬 높습니다. K-팝 아이돌 굿즈를 사고 싶어도 본인 인증에 막혀 포기하는 외국인 팬들이 적지 않다는 이야기입니다.
- 제한적인 결제 수단: 해외에서 발급된 신용카드나 간편 결제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이 매우 어렵습니다. 온라인 쇼핑몰 설문조사 결과, 국내 온라인 가맹점 중 비자, 마스터카드, 유니온페이 등 해외 발급 글로벌 브랜드 카드 사용이 가능한 곳은 약 3~4%에 불과했어요. 페이팔, 알리페이, 애플페이 등 해외 간편 결제도 마찬가지입니다. 반대로 알리익스프레스나 테무에서는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등 한국의 간편 결제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는 점과 대비됩니다.
추승우 한국은행 차장은 "회원가입 인증 방식이나 지급수단 수용과 관련해 법적 제약이 없는데도 국내 플랫폼들이 관행을 유지하고 있다"며, 플랫폼들이 실익과 기회비용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어요. 한국 상품의 글로벌 인기를 역직구 시장 성장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국내 이커머스 업계가 기존의 관행을 벗어나 외국인 소비자의 편의를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변화가 시급해 보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역직구'는 무엇이고, '직구'와는 어떻게 다른가요?
A1: 역직구는 외국인이 한국 온라인 쇼핑몰에서 한국 상품을 직접 구매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면 직구는 한국인이 해외 온라인 쇼핑몰에서 해외 상품을 직접 구매하는 것을 말합니다.
Q2: 한국의 역직구 시장 성장이 저조한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인가요?
A2: 한국은행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이커머스 플랫폼의 이용 편의성 문제가 가장 큰 이유로 지목됩니다. 특히 엄격한 회원 가입 본인 인증 절차와 제한적인 해외 결제 수단이 주요 장애물입니다.
Q3: 국내 쇼핑몰에서 외국인이 회원 가입하기 어려운 구체적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A3: 대부분의 국내 쇼핑몰은 본인 인증 시 국내 개통 휴대폰, 국내 신용카드, 또는 아이핀 인증을 요구합니다. 외국인에게는 이러한 인증 방식이 사실상 불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Q4: 해외 결제 수단 수용률이 국내 쇼핑몰에서 낮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A4: 한국은행은 법적 제약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플랫폼들이 해외 카드사나 간편 결제 시스템 도입에 소극적인 관행을 유지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Q5: 역직구 시장 활성화를 위해 국내 이커머스 업계가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요?
A5: 외국인도 쉽게 가입할 수 있도록 본인 인증 절차를 간소화하고, 해외에서 발급된 다양한 신용카드 및 페이팔, 알리페이, 애플페이 등 글로벌 간편 결제 수단을 적극적으로 도입해야 합니다.
#역직구 #직구 #한국온라인쇼핑 #K팝 #K뷰티 #이커머스 #한국은행 #회원가입 #결제수단 #해외결제 #본인인증 #소비자편의 #디지털무역
'경제 > 경제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민국, 더 피곤하고 고독해졌다? 5년 만에 줄어든 수면 시간, 늘어난 '혼밥' (3) | 2025.07.28 |
---|---|
2025년 세제개편안 요약|법인세·배당세·증권거래세 모두 변화 예정 (1) | 2025.07.28 |
두산밥캣, 북미 시장 회복 기대감에 목표주가 상향…미국 관세 수혜 전망 (1) | 2025.07.28 |
【주가 분석】현대차 주가 급등락 원인 5가지: 한·미 관세 협상과 향후 전망 (1) | 2025.07.28 |
LIG넥스원, '한국형 아이언돔' 천궁-Ⅲ 총괄사업자 선정…K방산 '빅2' 한화와 수주 경쟁 격화 (3) | 2025.07.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