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무역협상 막바지 총력전! 한국 장관들, 美 상무장관 따라 스코틀랜드까지 '급행'
8월 1일 관세 시한 앞두고, 한국 협상단 숨 가쁜 '러트닉 장관 추격전' 오는 8월 1일 미국의 상...
blog.naver.com
8월 1일 관세 시한 앞두고, 한국 협상단 숨 가쁜 '러트닉 장관 추격전'
오는 8월 1일 미국의 상호 관세 부과 유예 시한을 앞두고, 한미 무역협상이 막바지 총력전을 벌이고 있습니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28일(현지시간) 폭스뉴스 인터뷰를 통해 한국 당국자들이 무역 협상을 위해 스코틀랜드까지 자신을 찾아왔다고 직접 확인했습니다.
러트닉 장관은 "한국인들이 저녁 식사 후 나와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를 만나기 위해 스코틀랜드로 비행기를 타고 왔다"고 밝혔는데요. 여기서 '한국인들'은 바로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여한구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앞서 김 장관과 여 본부장은 지난 24~25일 워싱턴DC와 뉴욕에서 러트닉 장관 등을 만나 협상을 시도했지만, 입장차를 좁히지 못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후 러트닉 장관이 트럼프 대통령의 스코틀랜드 방문을 수행한다는 사실을 파악한 뒤, 두 장관은 급히 스코틀랜드로 향하는 '추격전'을 펼친 것이죠.
인사이트: 협상 타결 향한 '진정성'과 트럼프 대통령의 최종 결정권
러트닉 장관은 한국 협상단이 스코틀랜드까지 찾아온 것에 대해 "내 말은, 그들이 얼마나 진정으로 협상 타결을 원하는지를 생각해보라는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는 한국 측이 관세 부과를 막기 위해 얼마나 필사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를 시사하는 대목입니다.
러트닉 장관은 전날 스코틀랜드 턴베리에서 열린 트럼프 대통령과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의 회동 장소에 배석했던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그가 인터뷰에서 "방금 스코틀랜드에서 돌아왔다"고 밝힌 점을 미루어 볼 때, 김 장관과 여 본부장 역시 러트닉 장관의 동선을 따라 다시 워싱턴DC로 향했을 것으로 관측됩니다.
이제 남은 시간은 단 며칠. 김 장관과 여 본부장은 8월 1일 관세 부과 유예 시한 전까지 러트닉 장관과 막판 협상을 이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러트닉 장관은 '8월 1일 전에 모든 거래가 성사될 가능성이 있나'라는 질문에 "그렇다. 모두 준비가 돼 있다"면서도, "내 역할은 대통령을 위해 테이블을 준비하는 것이고, 그가 무엇을 할지 결정한다"고 답했습니다. 이는 협상 타결의 최종 결정권이 결국 트럼프 대통령에게 있음을 명확히 한 것으로, 협상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크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한국 정부의 고위 관계자들이 미국의 핵심 인사를 따라 해외로 '원정 협상'을 나선 것은 그만큼 사태의 심각성과 정부의 절박함을 보여줍니다. 8월 1일이라는 시한을 앞두고 한미 무역협상이 어떤 결말을 맺을지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한국 당국자들이 미국 상무장관을 만나기 위해 스코틀랜드까지 간 이유는 무엇인가요?
A1: 8월 1일로 예정된 미국의 상호 관세 부과 유예 시한을 앞두고 막바지 무역 협상을 타결하기 위해, 김정관 산업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의 동선을 따라 스코틀랜드까지 방문했습니다.
Q2: 이번 협상에 참여한 한국 측 주요 인사는 누구인가요?
A2: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여한구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입니다.
Q3: 러트닉 장관의 발언을 통해 협상 타결에 대한 한국 측의 의지를 어떻게 볼 수 있나요?
A3: 러트닉 장관이 "그들이 얼마나 진정으로 협상 타결을 원하는지를 생각해보라는 것"이라고 언급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한국 측이 관세 부과를 막기 위해 매우 강하고 필사적인 의지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Q4: 협상 타결의 최종 결정권은 누구에게 있다고 볼 수 있나요?
A4: 러트닉 장관의 발언("그(트럼프)가 무엇을 할지 결정한다")으로 보아, 협상 타결 여부에 대한 최종 결정권은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Q5: 8월 1일이 한미 무역협상에서 중요한 날짜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A5: 8월 1일은 미국이 한국을 포함한 일부 국가에 대해 상호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한 유예 시한이기 때문입니다. 이 시한까지 협상이 타결되지 않으면 한국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가 현실화될 수 있습니다.
#한미무역협상 #미국관세 #상무장관 #스코틀랜드협상 #김정관장관 #여한구본부장 #러트닉장관 #트럼프대통령 #통상협상 #8월1일 #관세부과 #외교전
'경제 > 경제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전자, 테슬라 23조 원 규모 AI 칩 수주 쾌거! 엔비디아 HBM4까지 잡고 'AI 반도체 맹주' 오를까? (4) | 2025.07.29 |
---|---|
📉 윤 정부 감세 뒤집기? 법인세·주식 양도세 '정상화' 추진|민주당·기재부 당정협의 요약 (3) | 2025.07.29 |
해외여행 '필수템' 된 여행자보험, 무사고 환급부터 DIY까지! (5) | 2025.07.28 |
💰 금융권 '이자놀이' 탈피, 생산적 금융 확대 방안 총정리|이재명 정부 금융개혁 드라이브 (7) | 2025.07.28 |
대한민국, 더 피곤하고 고독해졌다? 5년 만에 줄어든 수면 시간, 늘어난 '혼밥' (3) | 2025.07.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