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관 부회장, 한미 통상협상 '구원투수' 등판! '美 조선업 부활 패키지'로 총력전
8월 1일 관세 시한 앞두고, 민관 '원팀'으로 미국행 본격적인 휴가철을 맞아 여행자보험 가입자...
blog.naver.com
8월 1일 관세 시한 앞두고, 민관 '원팀'으로 미국행
본격적인 휴가철을 맞아 여행자보험 가입자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해외여행 수요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면서 한때 일회성 상품으로 여겨지던 여행자보험이 이제는 해외여행 필수품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손해보험업계는 올해 여행자보험 가입 건수가 역대 최고치를 경신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보험사들은 천편일률적인 보장에서 벗어나 ‘무사고 환급’ ‘DIY(직접 설계) 보장’ ‘기후 질환 특약’ 등 차별화 전략으로 고객 잡기에 나섰습니다.
핵심 요약
-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협상단 합류: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이 한-미 통상 협상 한국 측 대표단에 합류하여, '한-미 조선 협력 카드'를 지렛대 삼아 협상력을 극대화하는 데 힘을 보탤 예정입니다.
- 8월 1일 관세 시한 임박: 일본과 유럽연합(EU)이 미국과의 통상 협상을 15% 관세율로 마무리하면서, 한국도 미국 관세 부과 유예 시한인 8월 1일까지 가능한 모든 카드를 동원해 총력전을 펼치고 있습니다.
- 'MASGA 프로젝트' 핵심: 정부는 '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한국 민간 조선사의 대규모 현지 투자와 금융 지원, 그리고 제조업 협력 패키지를 미국 측에 제안했습니다.
- 한화그룹의 역할: 한화그룹은 지난해 인수한 미국 필리조선소에 대한 추가 투자, 기술 이전, 인력 양성 등 MASGA 프로젝트의 핵심축을 담당하며, 김 부회장이 협상 과정에서 추가 제안을 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 자동차 관세 '12.5%' 마지노선: 산업계는 15% 상호관세가 굳어진 상황에서, 한국산 자동차만큼은 한-미 FTA를 고려하여 일본·EU보다 낮은 12.5% 선을 지켜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본격적인 휴가철을 맞아 여행자보험 가입자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해외여행 수요가 회복되면서 한때 일회성 상품으로 여겨지던 여행자보험이 이제는 해외여행 필수품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손해보험업계는 올해 여행자보험 가입 건수가 역대 최고치를 경신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보험사들은 천편일률적인 보장에서 벗어나 ‘무사고 환급’ ‘DIY(직접 설계) 보장’ ‘기후 질환 특약’ 등 차별화 전략으로 고객 잡기에 나섰습니다.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이 한-미 통상 협상의 한국 측 대표단에 전격 합류하며, 8월 1일 미국의 상호 관세 부과 유예 시한을 앞두고 막바지 총력전에 나섰습니다. 김 부회장의 합류는 '한-미 조선 협력 카드'의 지렛대 효과를 극대화하여 미국과의 통상 협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기 위함입니다.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김동관 부회장은 28일 정부의 대미 관세 협상을 지원하기 위해 미국행 비행기에 올랐습니다. 다음 달 1일까지 미국 현지에 머물며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등의 통상 협의에 힘을 보탤 예정입니다.
앞서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지난 25일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의 뉴욕 자택에서 열린 협상에서 '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프로젝트'라고 이름 붙인 한-미 조선산업 협력 구상을 상세히 설명했습니다. 이 구상에는 한국 민간 조선사의 대규모 미국 현지 투자와 이를 뒷받침할 대출, 보증 등 금융 지원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한화그룹은 MASGA 프로젝트의 핵심축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12월 인수한 미국 필리조선소에 대한 추가 투자와 기술 이전, 인력 양성 등 구체적인 조선업 협력 방안을 정부 측에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특히 김 부회장이 막판 협상 과정에서 조선소 추가 인수나 투자 규모 확대 등 새로운 제안을 할 가능성도 제기되어, 협상의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립니다.
인사이트: EU 15% 관세 타결, 한국의 '마지노선'은?
일본에 이어 유럽연합(EU)까지 미국과의 통상 협상을 15% 관세율로 마무리하면서, 한국도 상호 관세와 특히 자동차 관세를 이들 수준까지 낮춰야 하는 절박한 과제를 안게 되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27일(현지시간) 영국 스코틀랜드 턴베리에서 회동 후 자동차를 포함한 모든 EU산 제품에 15% 관세율을 적용하기로 합의했다고 발표했습니다. EU는 관세 인하 대가로 미국산 에너지·군수물자 구매에 7,500억 달러, 대미 추가 직접 투자에 6,000억 달러를 약속했습니다.
이는 '천문학적 규모의 대미 투자 + 시장 개방' 조합이 사실상 관세 감축의 표준 패키지로 자리 잡았음을 의미합니다. 한국 정부는 'MASGA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제조업 협력, 1,000억 달러 이상 대미 투자, 농산물 또는 데이터 시장 개방을 포함한 패키지를 앞세워 막판 협상에 나섰습니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과의 통상 협상을 위해 29일 미국 워싱턴DC로 출국하는 등 민관이 총력전을 펼치고 있습니다.
산업계는 자동차 관세가 15%를 넘어가면 한국산 자동차의 가격 경쟁력이 크게 흔들릴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한국산 자동차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으로 미국 시장에서 무관세 혜택을 받아왔기 때문에, 일본·EU와 동일하게 15% 관세를 수용하면 사실상 역차별이 된다는 지적입니다. 최강일 법무법인 광장 고문은 "FTA 체결국인 한국은 자동차 품목만큼은 최소 12.5% 선을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지난해 미국 수입차 시장에서 한국(143만 대), 일본(137만 대), EU(75만 8천 대)가 3강 체제를 형성했던 만큼, 관세 역전은 국내 완성차 업계에 큰 비상 상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허정 국제통상학회장은 "EU는 동유럽 제조 기반을 앞세워 대미 수출을 빠르게 늘리고 있다"며 "관세 구조가 고착되면 '차이나 쇼크'에 준하는 'EU 쇼크'가 현실화할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기자들에게 "나머지 국가들의 관세는 15~20% 범위일 것"이라고 밝힌 가운데, 한국은 'MASGA 프로젝트'를 통한 제조업 협력의 질적 우위와 한-미 동맹을 지렛대 삼아 관세 장벽을 최소화하려는 고도의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8월 1일까지 남은 시간 동안 한국 협상단이 어떤 결과를 이끌어낼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이 한-미 통상 협상에 합류한 주된 목적은 무엇인가요?
A1: '한-미 조선 협력 카드'를 지렛대 삼아 협상력을 극대화하고, 미국 관세 부과를 막는 데 힘을 보태기 위함입니다.
Q2: 'MASGA 프로젝트'는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을 담고 있나요?
A2: '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Make America's Shipbuilding Great Again)'라는 의미로, 한국 민간 조선사의 대규모 미국 현지 투자와 이를 뒷받침할 대출, 보증 등 금융 지원을 포함하는 한-미 조선산업 협력 구상입니다.
Q3: 한화그룹이 MASGA 프로젝트에서 어떤 핵심 역할을 맡고 있나요?
A3: 한화그룹은 지난해 인수한 미국 필리조선소에 대한 추가 투자, 기술 이전, 인력 양성 등을 제안하며 MASGA 프로젝트의 핵심축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한국 조선 3사 중 유일하게 미국 내 직접 투자를 진행 중입니다.
Q4: 일본과 EU는 미국과의 통상 협상에서 어떤 합의를 이끌어냈나요?
A4: 자동차를 포함한 모든 EU/일본산 제품에 15% 관세율을 적용하기로 합의했으며, 그 대가로 대규모 대미 투자 및 미국산 에너지·군수물자 구매를 약속했습니다.
Q5: 한국 산업계가 자동차 관세와 관련하여 주장하는 '마지노선'은 몇 %인가요?
A5: 한-미 FTA로 무관세 혜택을 받아왔던 점을 고려하여, 일본·EU 수준(15%)보다 낮은 최소 12.5% 선을 마지노선으로 보고 있습니다.
#한미통상협상 #김동관부회장 #한화그룹 #MASGA프로젝트 #미국조선업 #관세협상 #8월1일 #자동차관세 #한국경제 #통상총력전 #트럼프 #관세전쟁 #K방산
'경제 > 경제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인세, 과연 누구의 세금일까? 논란 속 진실 파헤치기 (1) | 2025.07.29 |
---|---|
🌍 [공기업 역할 변화 2025] 혁신을 이끄는 공기업의 놀라운 7가지 변신 전 (2) | 2025.07.29 |
🚨 폐업한 스타트업 4곳 중 1곳은 ‘팁스 선정 기업’…정부 R&D 사업의 허점? (2) | 2025.07.29 |
150조 원 '국민성장펀드' 시동! AI·방산 키우고 '관제 펀드' 오명 벗을까? (3) | 2025.07.29 |
⚠️ 두부 공장 멈출 위기? 콩 수입량 축소가 불러온 '두부 대란' 현실화 (3) | 2025.07.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