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뉴스

😱 ‘뼈말라’·‘뼈팔’ 신조어 확산... ‘극단적 마름’ 추구가 불러온 섭식장애 현실

by 그래도동 2025. 7. 31.
728x90
반응형
SMALL
 

😱 ‘뼈말라’·‘뼈팔’ 신조어 확산... ‘극단적 마름’ 추구가 불러온 섭식장애 현실

SNS를 중심으로 퍼지는 ‘뼈말라’·‘뼈팔’ 열풍. 극단적 몸매 지향이 불러온 섭식장애 증가 추세와 진...

blog.naver.com

 

SNS를 중심으로 퍼지는 ‘뼈말라’·‘뼈팔’ 열풍. 극단적 몸매 지향이 불러온 섭식장애 증가 추세와 진단·치료법, 예방법을 알아봅니다.


1. 🔍 ‘뼈말라’와 ‘뼈팔’이란?

  • ‘뼈말라’: 뼈 윤곽이 도드라질 정도로 매우 마른 체형을 가리키는 신조어
  • ‘뼈팔’: 팔뼈가 선명하게 보일 정도로 극단적으로 마른 팔을 뜻함
  • SNS 유행: 연예인이나 인플루언서들의 깡마름 몸매 기준으로 챌린지·핵심 해시태그화
  • 일부 의료기관은 “지방흡입, 지방분해 시술”을 광고 키워드로 활용 중

2. 왜 문제가 되는 걸까?

  • 일반적으로 성인 여성의 적정 체중은 키 – 110 정도
  • 하지만 ‘뼈말라’를 추구하면 키 160cm → 몸무게 35~40kg 선으로 줄이려 함
  • 이는 정상 체중(약 50kg) 대비 30% 이상 감량을 목표로 하는 극단적 몸매 지향

3. 섭식장애 증가, 통계로 확인된 실태

  • 한국건강보험공단 자료: 2020년 9,474명 → 2023년 13,129명(약 39% 증가)
  • 섭식장애 유형:
    • 신경성 식욕부진증(거식증): 극단적 체중 감량, 음식 거부
    • 신경성 폭식증(폭식 후 방출형): 과식 후 자발적 구토 또는 설사 유도
  • 유병률: 전체 인구 기준 약 9%, 여성 청년층에서 집중 발생
  • 경과: 환자의 3분의 2는 평균 9년 이상 증상 지속

4. 신경성 식욕부진증, 폭식증의 주요 증상과 위험

✅ 신경성 식욕부진증

  • 음식 거부, 강제적 절식, 체중 감소
  • 합병증: 저혈압, 무월경, 골다공증, 부정맥, 저체온, 심부전 등
  • 사망률: 5~18%까지 보고된 심각한 정신‑신체 질환

✅ 신경성 폭식증

  • 숨겨진 폭식과 강제 구토 반복
  • 치료법: 영양 상담·심리 상담·약물치료 병행
  • 효과: 치료받으면 약 50% 호전, 일부는 자연 호전 가능하지만 재발률 높음

5. 조기 인식 및 치료의 중요성

  • 인지행동치료, 가족치료, 역동적 심리치료 등 적용
  • 조기 치료 시 완치 가능성 높음, 치료 접근성 개선 필요
  • 의료비용 부담도 문제가 되지만, 조기에 치료하면 장기 사회적 비용 감소

6. 💡 예방과 대응 전략

  • 미디어 리터러시 강화: SNS 습관·왜곡된 미(美) 기준 인식 개선
  • 정서적 지지 체계: 가족·학교·직장에서 체형 외 가치 강조
  • 전문가 연계: 정신건강의학과 전문가 상담, 조기 선별 프로그램 활성화

📌 요약 한 줄 정리

“‘뼈말라’·‘뼈팔’ 유행이 만든 극단적 다이어트 문화는 섭식장애 증가로 귀결된다. 조기 인식·치료와 예방 노력이 시급하다.”

🔖 #해시태그
#섭식장애 #거식증 #폭식증 #뼈팔 #뼈말라 #SNS트렌드 #정신건강 #다이어트위험 #조기치료 #먹는행동문제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