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뉴스

부산 동백전, 이제 배달앱 '땡겨요'에서 사용 가능! 소상공인·소비자 모두 윈-윈

by 그래도동 2025. 7. 31.
728x90
반응형
SMALL
 

부산 동백전, 이제 배달앱 '땡겨요'에서 사용 가능! 소상공인·소비자 모두 윈-윈

부산 지역화폐 동백전으로 공공배달앱 '땡겨요'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31일 부산시는 8...

blog.naver.com

 

부산 지역화폐 동백전으로 공공배달앱 '땡겨요'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31일 부산시는 8월 1일부터 '땡겨요'에서 동백전 결제가 가능해지며, 이용자들은 캐시백과 공공배달 소비쿠폰 등 다양한 혜택을 누릴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가맹점 또한 낮은 수수료로 가입할 수 있어 지역 소상공인과 소비자 모두에게 이득이 되는 상생 플랫폼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핵심 요약

  • 동백전, '땡겨요' 결제 지원: 8월 1일부터 부산 지역화폐 동백전으로 공공배달앱 '땡겨요'에서 결제가 가능.
  • 소비자 혜택: 결제 금액의 7% 캐시백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시 미지급), 농림축산식품부의 '공공배달앱 활성화 소비쿠폰사업' (2만 원 이상 2회 주문 시 1만 원 할인쿠폰) 혜택 제공. 9월부터 '땡겨요' 앱 내 동백전 잔액 확인 서비스 예정.
  • 가맹점 혜택: 입점 수수료, 월 이용료, 광고료 없이 민간 배달앱보다 낮은 2%의 중개수수료만 부담. 신한은행으로부터 당일 정산 서비스 및 마케팅 지원.
  • 부산시-신한은행-단체 업무협약: '부산 소상공인 공공배달앱 추진' 업무협약 체결, 상생 협력 다짐.
  • 신한은행 소상공인 자금 지원: 가맹 등록 소상공인 등에게 200억 원 규모 자금 지원을 위해 14억 원 특별 출연. 업체당 최대 1억 원 지원, 부산신용보증재단 1% 이자 차액 지원.

본론: '동백전'과 '땡겨요'의 만남, 지역 경제 활성화 기대


1. 소비자 혜택 강화: 캐시백과 쿠폰으로 '쏠쏠한' 할인

오는 8월 1일부터 부산 시민들은 공공배달앱 '땡겨요'를 이용할 때 부산 지역화폐인 동백전으로 결제할 수 있게 됩니다. 가장 큰 혜택은 결제 금액의 7%를 캐시백으로 돌려받는 것입니다. 이는 동백전 사용의 기본 혜택으로, 배달 주문 시에도 그대로 적용됩니다. 다만,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사용하여 결제하는 경우에는 캐시백이 지급되지 않습니다.

 

이와 더불어 농림축산식품부의 '공공배달앱 활성화 소비쿠폰사업' 혜택도 누릴 수 있습니다. '땡겨요'에서 2만 원 이상 2회 주문 시 1만 원 상당의 할인쿠폰이 제공되어 소비자의 부담을 덜어줄 예정입니다. 또한, 오는 9월부터는 '땡겨요' 앱 내에서 동백전 충전 잔액을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도 제공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2. 소상공인 수수료 부담 완화: 2% 중개수수료로 상생

'땡겨요'는 소비자뿐만 아니라 가맹점인 지역 소상공인들에게도 큰 이점을 제공합니다. 민간 배달앱의 높은 수수료 부담으로 어려움을 겪었던 소상공인들은 '땡겨요'에 입점할 경우 입점 수수료, 월 이용료, 광고료 등 별도 수수료 없이 낮은 2%의 중개수수료만 부담하면 됩니다. 이는 민간 배달앱보다 훨씬 낮은 수준으로, 소상공인의 실질적인 수익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가맹점은 신한은행으로부터 당일 정산 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 자금 회전율을 높일 수 있으며, 다양한 마케팅 지원 혜택도 누릴 수 있습니다. 이러한 낮은 수수료 정책과 부가적인 지원은 더 많은 소상공인들이 '땡겨요'에 가입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에 동참하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3. 부산시-신한은행-시민단체 '상생 협력' 체결

이러한 공공배달앱 활성화를 위해 부산시와 신한은행, 그리고 시민·소비자·소상공인 단체는 이날 '부산 소상공인 공공배달앱 추진'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서비스 연동을 넘어 민관이 협력하여 지역 상생 경제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줍니다.

 

특히 신한은행은 가맹 등록한 소상공인 등을 대상으로 200억 원 규모의 자금 지원을 약속하며, 이를 위해 14억 원을 특별 출연했습니다. 업체당 최고 1억 원 한도로 자금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부산신용보증재단은 이자 차액 1%를 지원하여 소상공인들이 안정적으로 사업을 운영할 수 있도록 도울 예정입니다.


인사이트

이번 부산 동백전과 공공배달앱 '땡겨요'의 연동은 지역화폐 활성화와 소상공인 지원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으려는 부산시의 전략으로 풀이됩니다. 민간 배달앱 시장이 독과점화되면서 높아진 수수료 문제는 소상공인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해왔습니다. '땡겨요'와 같은 공공배달앱이 낮은 수수료와 지자체-금융권의 지원을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다면, 소상공인의 경영 안정에 기여하고 소비자의 편익을 증진시켜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파급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입니다.


정리

부산 지역화폐 동백전으로 8월 1일부터 공공배달앱 '땡겨요' 결제가 가능해집니다. 이는 동백전 결제 시 7% 캐시백 혜택과 농림축산식품부의 소비쿠폰사업 혜택을 이용자에게 제공하며, 가맹점인 소상공인에게는 2%의 낮은 중개수수료와 신한은행의 당일 정산, 마케팅 지원 혜택을 제공합니다. 부산시와 신한은행, 시민단체는 업무협약을 통해 상생을 도모하고, 신한은행은 200억 원 규모의 소상공인 자금 지원을 약속했습니다. 이번 연동은 지역 경제 활성화와 소상공인 지원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관련 해시태그

#부산동백전 #땡겨요 #공공배달앱 #지역화폐 #소상공인지원 #캐시백혜택 #배달앱수수료 #부산시 #신한은행 #지역경제활성화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