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 연준 5회 연속 동결, 한은은 다음 회의에서 어떤 판단을 내릴까?
1. 🇺🇸 연준 동결 배경과 내부 견해 연준은 2025년 1·3·5·6월에 이어 8월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4.25~4...
blog.naver.com
1. 🇺🇸 연준 동결 배경과 내부 견해
- 연준은 2025년 1·3·5·6월에 이어 8월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4.25~4.50%로 동결했습니다.
- 제롬 파월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경제에 무리가 가지 않는 완만한 제한적 통화정책이 적절하다"고 밝혔습니다.
- 다만 위원 2명은 0.25%p 인하 주장을 했으며, 이에 따라 일부 내부에서 완화 요구가 존재함을 알 수 있습니다.
2. 한미 금리차 최대 2%p…한은의 고민 커진다
- 한미 기준금리 격차는 현재 2%포인트로 사상 최고 수준입니다.
- 만약 한은이 금리를 더 인하하면 다음과 같은 리스크가 부상합니다:
- 환율 변동성 증가
- 외국인 자금 유출 가능성
3. 가계·부동산·물가 변수도 복합적
- 정책 효과 미미?
- 6·27 대출 규제 이후 은행권 신규 가계대출 신청이 약 60% 감소
- 하지만 수도권 일부 지역은 신고가 거래가 지속되어 정책 일관성 논란
- 물가 부담 변수 확대
- 폭우 및 폭염으로 인한 농산물 가격 급등이 전체 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치며
- 통화 완화 기조 유지에 제약 요소로 작용 가능성 존재
4. 외교·통상 여건은 긍정적
- 한미 관세협상 타결로 주요 수출품(자동차, 반도체)에 대한 관세율 15% 적용이 확정됨
- 하반기 집행되는 2차 추경 효과와 내수 회복 조짐(2분기부터 소비 증가)이
- 경기 부양과 통화 완화 여건을 뒷받침하고 있다는 평가
5. 🍶 한은의 선택지는?
시나리오 | 가능성 및 고려사항 |
금리 동결 | 한미 금리차 유지, 경기회복 추세 반영 가능성 |
0.25%p 인하 | 환율·자본 유출 우려, 물가 상승압력 고려 필요 |
금리 인상? | 오히려 내수 회복 흐름 저해 가능…현실성 낮음 |
📝 현재 분위기라면 소폭 인하보다는 동결 혹은 신중한 판단이 더 유리하다는 시각이 우세합니다.
✅ 요약: 눈치 보지 말고, 다음 한은의 선택은?
미국 연준은 다섯 차례 동결하며 신중 기조 유지. 한은은 통화 완화 여건이 마련된 가운데 여전히 금리 인하 부담도 있지만, 환율과 자금 흐름 리스크를 고려해야 하는 신중한 국면입니다.
🔖 해시태그
#연준동결 #한국은행금리정책 #한미금리차 #환율리스크 #가계부채정책 #내수회복 #경제성장전망 #통화정책전망 #2025금융이슈 #금리회의
728x90
반응형
LIST
'경제 > 경제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트럼프, 8월 1일 관세 발효 강행…“트럼프는 못 참아!” 타코 둔갑한 스트롱맨의 귀환 (6) | 2025.07.31 |
---|---|
한미 관세 협상 타결, 일본 '놀라움'과 '우려' 교차… 온도 차 극명 (3) | 2025.07.31 |
한미 무역협상 '숨은 영웅'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트럼프의 '돌격대장'이자 끈질긴 협상의 키맨 (2) | 2025.07.31 |
💸 2025년 세제개편안 완벽 정리! 자녀가 2명이면 소득공제 최대 100만원 더 받는다 (4) | 2025.07.31 |
🇺🇸 한미 관세 협상, 숨 가쁜 일정의 뒷이야기: "미국이 한국만 일부러 늦췄다?" (1) | 2025.07.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