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뉴스

삼성전자 애플 칩 생산 수주…시스템반도체 판도 바뀌나?

by 그래도동 2025. 8. 7.
728x90
반응형
SMALL
 

삼성전자 애플 칩 생산 수주…시스템반도체 판도 바뀌나?

애플, 삼성 오스틴 공장서 차세대 칩 생산 공식화 2025년 8월, 애플은 공식 성명을 통해 삼성전자와 협력해...

blog.naver.com

 

애플, 삼성 오스틴 공장서 차세대 칩 생산 공식화

2025년 8월, 애플은 공식 성명을 통해 삼성전자와 협력해 차세대 칩 생산을 미국 텍사스 오스틴 파운드리에서 진행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전 세계에서 최초로 상용화되는 고급 이미지센서 생산으로, 향후 아이폰을 비롯한 애플 제품에 탑재될 예정이다.

해당 발표는 단순한 협업 그 이상으로, 애플이 일본 소니와의 독점 관계를 일부 해소하고 공급망 다변화 전략에 착수한 첫 사례로 풀이된다.


이미지센서 분야에서 소니 독점 깨뜨릴까?

현재 글로벌 이미지센서 시장에서 소니는 42%의 점유율로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삼성은 그 뒤를 이어 약 15%의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지만, 그 격차는 컸다. 그러나 이번 애플 수주로 인해 판도 변화가 예상된다.

삼성의 이미지센서 브랜드인 ‘아이소셀(ISOCELL)’은 이미 샤오미, 비보, 오포, 갤럭시 등에 납품되며 기술력을 입증받았다. 특히 2억 화소 제품, 나노프리즘 기술 도입 등 혁신을 이어가며 프리미엄 시장 진입을 노려왔다. 애플 수주는 이 전략의 결정적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테슬라에 이어 애플까지…삼성의 대형 수주 행보

삼성은 지난 2024년 테슬라로부터 AI6 자율주행 칩 생산 계약(약 22조 원 규모)을 체결하며, 시스템반도체 사업에서 반등의 기회를 잡았다.

이번 애플 계약은 그 흐름의 연장선상에 있다. 즉, 삼성 파운드리의 품질·기술력·생산 신뢰성이 글로벌 빅테크 고객사들로부터 인정받고 있다는 방증이다. 이로 인해 TSMC, 인텔, 글로벌파운드리즈와의 경쟁에서 신뢰 기반의 차별화 전략이 가능해졌다.


오스틴 팹 선택한 전략적 배경은?

삼성전자가 애플 칩을 미국에서 생산하기로 한 이유는 명확하다.
트럼프 전 대통령을 포함해 미국 정치권은 제조업 리쇼어링을 지속적으로 강조해왔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삼성은 1998년부터 운영해온 오스틴 반도체 공장과 신규 건설 중인 텍사스 테일러 팹을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애플이 강조한 "미국 내 공급망 확보" 전략과도 맞아떨어진다.
이는 향후 미국 내 반도체 관련 보조금 수혜와 규제 완화 가능성 측면에서도 삼성에 정치적·경제적 이점을 가져올 수 있다.


이재용 회장의 글로벌 네트워크가 만든 결과물

업계는 이번 애플 수주 성공의 배경으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글로벌 네트워크 복귀를 지목한다.
이 회장은 선밸리 콘퍼런스를 비롯한 글로벌 기업 리더 모임에 연이어 참석하고 있으며, 미국 워싱턴에서의 반도체 협상 실무 접촉도 성사시킨 바 있다.

특히 2023년 전영현 부회장을 시스템LSI 사업부로 전격 이동시켜, 기술 중심의 구조 개편과 고객 신뢰 회복을 꾀한 것이 오늘의 결과로 이어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삼성 시스템반도체, 도약의 변곡점 되나

시스템반도체는 전체 반도체 시장의 약 70%를 차지하는 고수익 구조다.
삼성은 메모리 반도체에서 세계 1위지만, 시스템반도체에서는 아직 TSMC 등에 비해 뒤처져 있었다.

그러나 테슬라와 애플을 잇달아 확보한 지금, 삼성은 단순 수익 확대가 아니라 시장 영향력 확대, 기술 주도권 확보라는 핵심 가치에 접근하고 있다. 이는 한국 반도체 산업에도 중요한 이정표가 될 수 있다.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이번 애플 칩은 어떤 제품에 들어가나요?
A: 아이폰 차세대 모델(2026년 이후 출시 예정)의 이미지센서 탑재 가능성이 높습니다.

Q2. 왜 삼성 오스틴 공장에서 생산하나요?
A: 애플의 미국 내 생산 확대 정책에 부응하며, 삼성도 정치·지리적 리스크를 분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Q3. 삼성의 경쟁사는 누구인가요?
A: 파운드리 분야에서는 TSMC, 이미지센서 분야에서는 소니가 주요 경쟁자입니다.

Q4. 이미지센서란 무엇인가요?
A: 스마트폰 카메라의 '눈' 역할을 하는 핵심 부품으로, 화질과 센서 감도를 결정짓는 요소입니다.

Q5. 이번 계약으로 삼성에 어떤 변화가 생기나요?
A: 파운드리 및 시스템LSI 사업부의 수익성과 글로벌 입지가 동시 강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Q6. 국내 반도체 산업에는 어떤 의미가 있나요?
A: 한국 반도체 산업의 고부가가치 중심 전환을 이끄는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결론: 미국 생산+글로벌 수주, 삼성의 반격은 지금부터

삼성전자의 애플 칩 생산 수주는 단순히 하나의 계약이 아니다.
이는 TSMC와의 격차를 좁히는 신호탄이자, 미국 중심의 글로벌 공급망 변화에 적극 대응한 전략적 성과다.

이재용 회장의 외교적 리더십, 기술 혁신, 그리고 오스틴이라는 미국 내 생산 거점 활용이 유기적으로 맞물리며 세계 최대 고객사를 확보하는 결과를 만들었다.

앞으로도 테슬라·애플을 넘어 삼성 파운드리와 시스템반도체의 '빅 테크 동맹'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 관련 해시태그

#삼성전자 #애플칩생산 #오스틴파운드리 #시스템반도체 #이재용 #아이소셀 #이미지센서 #반도체수주 #글로벌공급망 #TSMC경쟁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