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 핵심요약
- 국정기획위, 최저임금 연 2회 분할 인상안 검토
- 독일식 모델 벤치마킹… 총 인상률을 반기로 나눠 적용
- 소상공인·중소기업 충격 완화 기대 vs 노사 모두 불만
- 현행 최저임금위원회 구조 개선 논의도 재점화
- 전문가 “노사 힘겨루기 구조부터 혁신해야” 지적
🔍 매년 반복되는 갈등에 손질 나선다
국정기획위원회가 최저임금 제도 개편 카드를 꺼내들었습니다.
매년 인상 폭을 한 번에 결정하는 지금 방식 대신,
연 2회로 나눠 점진적으로 인상하는 안이 대표적입니다.
🇩🇪 독일식 모델 따라 분할 인상
국정기획위는 독일 사례를 참고 중입니다.
독일은 과거 코로나 위기 때 총 인상률을 두 번에 나눠 올렸죠.
한국에서도 예컨대 3% 인상이라면
1월에 1.5%, 7월에 1.5%씩 나눠 적용하는 식입니다.
이렇게 되면 급격한 인상 충격을 줄여
소상공인·중소기업 부담을 완화하고,
매년 반복되는 노사 간 갈등도 줄이자는 취지입니다.
⚖️ 노사 모두 “조삼모사” 우려
하지만 실효성엔 의문도 많습니다.
자영업자들은 “어차피 올릴 건데 번거롭다”,
노동계는 “인상 시점이 지연돼 불이익”이라며 불만이 큽니다.
🗂 낡은 최저임금 결정 구조도 도마 위
함께 논의되는 건 최저임금위원회(최임위) 구조 개편입니다.
공익·근로자·사용자 각 9명씩 총 27명이 모여
노사 간 ‘줄다리기’를 해온 현재 구조는
1988년 이후 노사 합의가 단 7번뿐이었을 정도로
매번 파행 논란이 많았습니다.
문재인 정부, 윤석열 정부 모두
전문가 중심 위원회·산출 공식 도입 등
구조 개혁을 시도했지만 노동계 반발로 번번이 무산됐죠.
💬 정치권 “정치적 중립성부터 확보해야”
정치권과 전문가들은
노사 모두 문제의식을 공유하는 만큼
객관적 산출식, 전문가 중심 위원회,
위원회 규모 축소, 정치적 중립성 보장 등
구조적 혁신이 시급하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 한 줄 정리
갈등 줄이고 충격은 완화하되, 실효성은?
연 2회 인상안과 위원회 혁신 논의가
이번엔 현실화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728x90
    
    
  반응형
    
    
    
  LIST
    '경제 > 경제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신혼부부 버팀목 전세대출 소득 기준 완화… 결국 무산 (0) | 2025.07.02 | 
|---|---|
| 📈 6월 소비자물가 2.2%… 한국은행 “기저효과 영향” (0) | 2025.07.02 | 
| 📉 설비투자·생산·소비 ‘트리플 부진’… 한국 경제 먹구름 짙어진다 (0) | 2025.07.01 | 
| 💊 약값 내리면 좋다?… ‘일괄 약가인하’가 소비자 부담 키우는 이유 (0) | 2025.07.01 | 
| 💸 체불임금, 3개월 → 3년치까지? 정부 ‘대지급금’ 대폭 확대 추진! (0) | 2025.07.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