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뉴스

🚀 “24시간 공짜 거래” 로빈후드 토큰화 주식, 한국은 언제 따라잡나?

by 그래도동 2025. 7. 9.
728x90
반응형
SMALL

🔑 핵심 요약

  • 로빈후드, EU서 레이어2 아비트럼 기반 토큰화 주식 200여 종·ETF 발표
  • 수수료 0원·24시간 거래로 시간 제약·비용 부담 완전 해소
  • 디파이 담보 활용·대출·레버리지 가능성…금융 혁신 가속
  • 제미니·갤럭시 디지털 등 가상자산 거래소들도 경쟁 가세
  • 한국은 자본시장법·전자증권법 개정안 계류로 제도화 지연

1️⃣ 로빈후드의 파격 선언: “수수료 없고, 24시간 거래하세요!”

  • 발행주체: 로빈후드 → 레이어2 블록체인 아비트럼
  • 상품군: 200종 이상의 미국 주식·ETF·파생상품 토큰화
  • 주요 특징:
    • 수수료 0원
    • 24/5 거래로 기존 증권시장 영업시간 제약 제거
  • 영향: 개인투자자, 은행·증권사 등 중개업체의 수익 구조 재편 예고

2️⃣ 디파이 담보 활용 시대 개막

  • 토큰화 주식을 디파이 플랫폼의 담보 자산으로 활용 가능
  • 대출·레버리지·스테이킹 등 전통 금융과 DeFi의 경계 무너져
  • 유동성 공급자·차입자 모두 새로운 시장 기회 포착

3️⃣ 가상자산 거래소도 합류: “미국 주식을 전 세계로!”

  • 제미니: 스트래티지(Bitcoin 최대 보유 기업) 주식 토큰화
    • “미국 주식의 글로벌 수출을 목표”
  • 갤럭시 디지털: “NYSE 등 전통 증권소에 대한 도전장
  • 영향: 가상자산 플랫폼이 글로벌 금융 시스템 재설계 주도

4️⃣ 한국은 ‘먼 산’인가? 제도 미비로 발목 잡혀

  • 자본시장법·전자증권법 개정안 수년째 국회 계류
  • 증권사·블록체인 기업 샌드박스 의존 → 사업 지연·철수 사례 속출
  • 업계 “법안 통과 전까지 규제 샌드박스에 목맬 수밖에”
  • 경쟁력 확보 위해서는 포괄적·통합적 제도 논의 시급

5️⃣ 브로의 제언: “제도 따라 기술, 기술 따라 혁신”

  1. 법제도 완성
    • 토큰증권 전면 허용 및 분산원장 정의 명문화
    • 디파이 담보·대출 등 금융활용 규율 체계 구축
  2. 플랫폼 실증
    • 국내 주요 증권사·거래소 샌드박스→본사업 전환 지원
    • 민관 컨소시엄으로 인프라·운용 규격 표준화
  3. 글로벌 협력 가속화
    • 아비트럼·DTCC 등 해외 기관과 상호운용성 연구
    • 토큰화 주식 크로스보더 거래 원활화
  4. 투자자 보호 및 교육
    • 권리구조, 의결권·배당권 차이 명확히 고지
    • 디지털 자산 리스크 관리 가이드라인 제정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