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 핵심 요약
- 6월 PPI 전월 대비 0.0%: 5월 +0.3% 상향 조정 후 ‘제로’ 성장
- 연간 기준 2.3%↑: 9개월래 최저치
- 핵심 PPI(식·에너지 제외) 연 2.5%↑: 2023년 말 이후 최소 상승률
- 최종 수요 서비스 물가 −0.1%↓: 여행·교통 서비스 비용 급락
- 최종 수요 재화 물가 +0.3%↑: 상품 가격 오름세 지속
6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전월 대비 ‘0’**을 기록하며 인플레이션 완화 신호를 보냈습니다. 여행·교통 서비스 비용이 급락한 반면, 상품 가격 상승이 이를 상쇄한 결과인데요. ‘수요 재화’(상품) 물가는 여전히 오르고, ‘수요 서비스’가 이를 잡아준 그림입니다.
1. PPI ‘보합(0%)’에 숨은 이중풍선
- 5월 → +0.3%로 상향 조정된 뒤
- 6월 → +0.0%(전월比)
- 연간 상승률 2.3%: 2023년 9월(2.2%) 이후 최저
2. 핵심 PPI도 완만한 상승
- 식품·에너지 제외 시 연 2.5%↑, 2023년 말(약 2.4%) 이후 최저치
반응형
3. 재화 vs. 서비스: 온도 차 뚜렷
- 최종수요 서비스 물가: 6월 −0.1%
- 특히 ‘여행 서비스’ 비용이 큰 폭 하락
- 최종수요 재화 물가: 6월 +0.3%↑
- 상품(가전·가구·소비재 등)은 여전히 상승 중
4. 관세 효과 ‘지켜보자’
- 소비자물가(CPI)에서는 이미 가전·가구·오락용품 등 관세 인상 영향 확산
- 아직 PPI 단계에선 제조업체들이 관세 부담을 신중히 제품 가격에 전가
“5월 도·소매 마진이 급등했다가 6월엔 또 제자리”
— 블룸버그
5. 향후 시사점:
- 무역 비용 상승 → 여름부터 물가 압박 재개?
- 기업의 관세 전가 속도에 주목: PPI 연속 ‘제로’는 일시적일 수
- 소비자물가지수(CPI)와 PPI 간 괴리 해소 여부 관측
728x90
전반적으로 도매 물가 안정이 확인됐지만, 상품 가격 상승 압력은 여전합니다. 제조업체들이 관세 및 물류 비용을 본격 전가하기 시작하면 도매와 소비자 물가 모두 다시 올라갈 가능성도 있어, 하반기 물가 흐름을 면밀히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SMALL
728x90
반응형
LIST
'경제 > 경제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한은행, 일부 지점 일요(日曜) 외국인 영업 돌입 (3) | 2025.07.18 |
---|---|
강남·마용성 집값 숨고르기…6·27 대출규제 ‘효과 톡톡’ (3) | 2025.07.17 |
뉴욕증시, 파월 해임설에 출렁…트럼프 부인에 ‘롤러코스터’ 반등 (3) | 2025.07.17 |
전업 투자자문·일임사 절반 이상 ‘적자’…치열해진 경쟁에 시장 침체 직격탄 (1) | 2025.07.17 |
대한조선, 유가증권시장 상장 도전…“흑자 전환 발판 삼아 글로벌 입지 강화” (0) | 2025.07.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