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뉴스

6월 PPI ‘제로’ 성장…여행 서비스 ↓, 상품 물가 ↑ 상쇄

by 그래도동 2025. 7. 17.
728x90
반응형
SMALL

🔑 핵심 요약

  • 6월 PPI 전월 대비 0.0%: 5월 +0.3% 상향 조정 후 ‘제로’ 성장
  • 연간 기준 2.3%↑: 9개월래 최저치
  • 핵심 PPI(식·에너지 제외) 연 2.5%↑: 2023년 말 이후 최소 상승률
  • 최종 수요 서비스 물가 −0.1%↓: 여행·교통 서비스 비용 급락
  • 최종 수요 재화 물가 +0.3%↑: 상품 가격 오름세 지속

6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전월 대비 ‘0’**을 기록하며 인플레이션 완화 신호를 보냈습니다. 여행·교통 서비스 비용이 급락한 반면, 상품 가격 상승이 이를 상쇄한 결과인데요. ‘수요 재화’(상품) 물가는 여전히 오르고, ‘수요 서비스’가 이를 잡아준 그림입니다.

1. PPI ‘보합(0%)’에 숨은 이중풍선

  • 5월 → +0.3%로 상향 조정된 뒤
  • 6월 → +0.0%(전월比)
  • 연간 상승률 2.3%: 2023년 9월(2.2%) 이후 최저

2. 핵심 PPI도 완만한 상승

  • 식품·에너지 제외 시 연 2.5%↑, 2023년 말(약 2.4%) 이후 최저치
반응형

3. 재화 vs. 서비스: 온도 차 뚜렷

  • 최종수요 서비스 물가: 6월 −0.1%
    • 특히 ‘여행 서비스’ 비용이 큰 폭 하락
  • 최종수요 재화 물가: 6월 +0.3%↑
    • 상품(가전·가구·소비재 등)은 여전히 상승 중

4. 관세 효과 ‘지켜보자’

  • 소비자물가(CPI)에서는 이미 가전·가구·오락용품 등 관세 인상 영향 확산
  • 아직 PPI 단계에선 제조업체들이 관세 부담을 신중히 제품 가격에 전가

“5월 도·소매 마진이 급등했다가 6월엔 또 제자리”
— 블룸버그

5. 향후 시사점:

  • 무역 비용 상승 → 여름부터 물가 압박 재개?
  • 기업의 관세 전가 속도에 주목: PPI 연속 ‘제로’는 일시적일 수
  • 소비자물가지수(CPI)와 PPI 간 괴리 해소 여부 관측
728x90

전반적으로 도매 물가 안정이 확인됐지만, 상품 가격 상승 압력은 여전합니다. 제조업체들이 관세 및 물류 비용을 본격 전가하기 시작하면 도매와 소비자 물가 모두 다시 올라갈 가능성도 있어, 하반기 물가 흐름을 면밀히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SMALL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