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뉴스

소비쿠폰 사용처, 이 글 한 번에 정리하기

by 그래도동 2025. 7. 21.
728x90
반응형
SMALL

핵심 요약

  • 사용처 :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 + 연 매출 30억 이하 매장
  • 프랜차이즈는 “가맹점만” 스타벅스×, 메가커피○ / 맥도날드×(15%) vs 롯데리아○(90%)
  • 대형마트·백화점·면세점·온라인몰 불가, 단 “테넌트(입점업체)”만 허용
  • 배달앱은 단말기 직결제만 사용 가능 (배민·요기요 O, 쿠팡이츠 X)

1. 소비쿠폰, 언제부터 어디서 쓸 수 있나?

  • 신청 기간: 7월 21일(월)~8월 20일(화)
  • 지급 액수: 1인당 최대 55만 원
  • 결제 수단: 신용·체크·선불카드

사용 조건

  1.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
  2. 연 매출 30억 원 이하 매장
  3. 프랜차이즈 → ‘본사 직영점’은 제외, ‘가맹점’만 허용

2. 대표적 사용처 비교

업종브랜드가맹점 비율사용 가능 여부
커피 스타벅스 0% 직영 ❌ 불가
커피 메가MGC커피 99% ✅ 가능
햄버거 맥도날드 15% 가맹 일부(15%)만 가능
햄버거 롯데리아 90% ✅ 가능
빵집 뚜레쥬르 99% ✅ 가능
빵집 파리바게뜨 90% ✅ 가능
치킨 교촌 100% ✅ 가능
치킨 BBQ 97% ✅ 가능
치킨 BHC 99% ✅ 가능
외식 아웃백, 빕스 0% 가맹 ❌ 불가
다이소 전체(1500여 점) 30% 가맹 가맹점만 ✅ (직영점❌)
올리브영 전체(1379점) 16.0% 가맹점(221개)만 ✅
 

3. 대형 유통·백화점·면세점·온라인몰은?

  • 불가: 대형마트·SSM·백화점·면세점·온라인 쇼핑몰 전체
  • 예외: 해당 건물 내 음식점·안경점·미용실 등 테넌트만 사용 가능
    • 별도 매장 리스트 → 대형마트·백화점 홈페이지에 공지 예정

4. 배달앱 사용법

  • 배달앱 내 결제 기능 없음: 쿠폰 바로 결제 불가
  • 단말기 직접 결제 방식만 가능
    • 배달원이 카드단말기 들고 오면 OK (배민·요기요 O / 쿠팡이츠 X)

5. 사용 전 확인 포인트

  1. 매출 기준: 연 매출 30억 이하인지 체크
  2. 직영 vs 가맹: 브랜드별 가맹점 여부 반드시 확인
  3. 테넌트 매장 여부: 대형 유통점 방문 시 안내판·홈페이지 검색
  4. 배달 주문 방식: 단말기 직접 결제 가능한 앱 선택

인사이트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지역 소비 활력’을 목표로 도입된 정책입니다.
하지만 프랜차이즈 직영·가맹, 대형 유통·백화점 제외, 배달앱 결제 방식 등 복잡한 조건 때문에 소비자들의 혼란이 크죠.

👉 가장 똑똑한 전략

  • 주변 가맹점 리스트를 미리 파악하고,
  • 주말 외식·장보기 계획을 세워두며(테넌트 매장 활용)
  • 가능한 배달앱을 활용해 남은 금액까지 알뜰히 사용하는 것입니다.

정책 취지를 살리는 동시에 놓치는 혜택 없이 소비쿠폰을 제대로 활용해 보세요!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