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핵심 요약
- 트럼프 발표: “일본, 미국에 5,500억 달러 대규모 투자·수익의 90% 귀속”
- 관세율 상호 15% 적용: 일본산 車·트럭·쌀 등 다양한 품목 개방
- 필리핀·인도네시아·베트남에도 19~20% 관세 부과
1. 트럼프 “사상 최대 규모 거래”
- 투자 기금: 일본 기업·기관이 5,500억 달러를 미국 내 펀드 형태로 투자
- 수익 배분: 미국이 총수익의 90% 확보
- 일자리 창출: 수십만 개 신규 고용 기대
2. 관세 개편 내용
- 상호 15% 관세:
- 자동차·트럭·쌀·농산물 등 폭넓게 적용
- “미국·일본은 우방, 공정한 부담 분담”
- 아시아 추가 대상:
- 필리핀·인도네시아·베트남 모두 약 19~20% 관세 적용
3. 한·미 협상에 미칠 파장
- 미국은 “한국에도 4,000억 달러 펀드 투자” 요구
- 일본과 같은 조건 제시 시 한국 기업·정부 부담 가중
- 한국 측 고민:
- 민간 주도로 5,500억 달러급 투자를 준비하기 현실적 어려움
- 관세 인상 압박 속 산업·농업계 반발 관리가 과제
인사이트
- 투자 기금의 실체와 구조
- “5,500억 달러”는 실제 현금 vs 출자 약속 여부를 분명히 따져봐야 합니다.
- 미국 측 수익 90% 확보 조건은 배당 소득 분리과세 등 국내 과세 체계와도 충돌할 소지.
- 관세율 15% ‘빅플로우’의 진짜 승자는?
- 일본 자동차·농산물업계엔 타격이 불가피하지만,
- 미국 내 제조업(자동차·농산업) 회복·투자 확대의 구심점이 될 전망입니다.
- 한국 협상 전략 재정비 필요
- “비슷한 수준 투자·관세 상호화”를 바로 받아들이기 어려운 만큼,
- 농업·수출업계 보호책을 패키지로 제시해야 정치적·경제적 부담 최소화가 가능할 것입니다.
- 글로벌 공급망 재편 가속
- 관세 장벽이 확산되면 미국 중심의 블록화 경향이 강화됩니다.
- 한국 기업들은 ‘글로벌 다변화’와 ‘내수·동남아 시장 강화’ 대응 전략을 서둘러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
'경제 > 경제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디지털교과서(AIDT) 법적 지위 붕괴…교육 출판업계 ‘패닉’ (4) | 2025.07.23 |
---|---|
전국 빌라 전셋값, 3분의 1이 ‘역전세’에 빠졌다 (1) | 2025.07.23 |
“HBM 시장 점유율 분수령, 내년이 갈림길” (1) | 2025.07.23 |
“웬만해선 흔들리지 않는다” 미국 증시 저변동성의 비밀 (4) | 2025.07.22 |
국내 배당형 ETF, ‘분리과세 모멘텀’에 자금물결 (1) | 2025.07.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