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 한미 관세협상, 농민 보호 우선했지만…“자동차·투자·철강 분야선 제대로 얻어냈나?”
🎯 핵심 요약: 농업 지키고 산업은 손해 본 것일까? 한국은 농축산물(쌀·소고기) 시장 추가 개방을 막는 ...
blog.naver.com
🎯 핵심 요약: 농업 지키고 산업은 손해 본 것일까?
- 한국은 농축산물(쌀·소고기) 시장 추가 개방을 막는 데 성공
- 그러나 자동차 관세율(12.5%) 인하 목표 실패, 철강 관세 추가인하도 얻어내지 못함
- 또 대미 투자 약속 금액도 미국의 요구수준에 못 미친 결과
- 결과적으로 농업 보호는 굳건하지만 산업 경쟁력은 부분적 위축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 농업 부분은 수호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SNS를 통해 “한국은 미국산 자동차, 농산물 완전 개방에 합의했다”고 발표했지만,
한국 정부는 재빠르게 “쌀·소고기 시장은 추가 개방하지 않기로 합의했다”며 농업 보호 중심 해석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농민들의 반발 우려를 고려한 전략적 판단으로 보이며, 김용범 실장은 “협의된 바 없다”고 여러 차례 강조했습니다.
🚗 자동차 관세, 목표보다 높은 타결률
- 한국 측은 자동차 관세를 12.5%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했지만, 최종 협상 결과는 15%로 타결됨
- 이는 자동차 업계와 산업 경쟁력 측면에서 유의미한 차이로 평가됩니다
⚙️ 철강 관세도 추가 인하 못 했나?
- 철강 관세 역시 추가 인하 기대가 있었지만 결과적으로 현수준 유지에 그쳐
- 철강 산업계는 경쟁력 약화 우려를 제기 중입니다
💰 대미 투자 규모도 미국 요구에 못 미쳤다?
- 한국은 3,500억 달러 규모 투자 펀드를 제안했지만
- 미국 측은 4,000억 달러 수준을 요구
- 일부 산업계에서는 ‘협상의 여지가 부족했다’는 평가도 나옵니다
🔍 전문가들, “트럼프 발언 액면 그대로 믿지 마라”
- 한 통상 전문가는 “트럼프는 자기 입맛에 맞는 표현만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며
- 이후에서도 비관세 장벽 완화 요구 등 추가 협상이 불가피할 가능성에 주목해야 한다고 경고합니다
- 서울대 법전 교수도 “검역·원산지 기준 등 ‘완전 개방’의 의미가 구체적으로 정의되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하며
- 일본·EU 사례처럼 실무 합의가 발표될 때까지 지켜봐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 전체 평가: 농업 보호 vs 산업 손익은?
긍정 측면:
- 농민 보호(쌀·소고기 시장 불변)
- 통상적 민감 분야 지지층의 반발 예방
부정 측면:
- 자동차·철강 관세 등 산업 경쟁력 약화
- 투자 규모 협상에서 기대치 부족
- 전체적인 협상 ‘워크아웃’ 효과가 제한적
☁️ 정치적 균형과 산업 논리 간의 트레이드오프(Trade-off)가 분명히 드러난 협상 결과로 파악됩니다.
🔖 해시태그 정리
#한미관세협상 #농민보호 #자동차관세 #철강관세 #대미투자 #트럼프발언분석 #무역협상평가 #산업정책 #농축산물정책 #산업경쟁력
728x90
반응형
LIST
'경제 > 경제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미 무역 합의, 이재명 대통령의 '정치적 승리'로 외신들 평가 (4) | 2025.08.01 |
---|---|
한미 무역 합의, '민감 분야 방어' 성공했지만 'FTA 이점 상실' 지적 (8) | 2025.08.01 |
"역사에 죄짓지 말자" 이재명 대통령의 고뇌와 한미 관세 협상 타결의 뒷이야기 (3) | 2025.08.01 |
🏙️ 서울시, ‘주택진흥기금’ 도입 본격 시동! 민간 주택공급 해법 찾는다 (4) | 2025.08.01 |
🤝 한미 외교 새출발! 조현-루비오 첫 회담…“비핵화, 기술동맹, 동맹 현대화” 의기투합 (4) | 2025.08.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