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뉴스

토종 OTT 왓챠, 결국 기업회생 절차 돌입

by 그래도동 2025. 8. 5.
728x90
반응형
SMALL
 

토종 OTT 왓챠, 결국 기업회생 절차 돌입

토종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기업 왓챠(Watcha)가 결국 기업회생 절차에 들어갔습니다. 서울회생법원...

blog.naver.com

 

토종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기업 왓챠(Watcha)가 결국 기업회생 절차에 들어갔습니다. 서울회생법원은 왓챠의 전환사채(CB) 투자자인 인라이트벤처스가 제기한 회생 신청을 받아들여 8월 4일 회생 절차 개시를 결정했습니다.

이번 결정으로 왓챠는 회생계획안을 마련해야 하며, 이 과정에서 채권자, 담보권자, 주주들은 자신의 권리를 신고해야 합니다. 회생 절차가 진행되는 동안에는 변제나 재산 교부가 금지됩니다.


핵심 요약

  • 왓챠, 기업회생 절차 개시: 서울회생법원이 왓챠의 전환사채 투자자가 제기한 회생 신청을 받아들여 회생 절차를 시작함.
  • 배경:
    • 2021년 490억 원 규모의 CB를 유치했지만, 글로벌 OTT와의 경쟁 심화와 콘텐츠 투자 부담으로 재무 구조가 악화.
    • LG유플러스와의 인수 협상도 무산됨.
    • 2023년 매출 감소(338억 원), 당기순손실(82억 9,600만 원) 기록, 유동부채가 자산을 907억 원 초과.
    • 외부감사인으로부터 '감사의견 거절' 통보를 받음.
  • 향후 절차:
    • 채권자 등은 9월 1일까지 권리자 목록을, 9월 2일부터 22일까지는 권리 신고를 해야 함.
    • 회생계획안 제출 기한은 내년 1월 7일까지.

본문: 글로벌 OTT 경쟁 속에서 길을 잃은 왓챠

1. 채권자의 회생 신청, 법원이 받아들여

왓챠는 그동안 자금난과 글로벌 OTT 기업들과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어려움을 겪어왔습니다. 2021년 490억 원 규모의 전환사채(CB)를 유치하며 성장을 모색했지만, 콘텐츠 제작 및 투자 비용 부담이 커지면서 재정 상황이 급격히 악화되었습니다. 결국 LG유플러스와의 인수 협상마저 무산되면서 위기는 심화됐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왓챠의 전환사채 투자자인 인라이트벤처스가 기업과 협의 없이 회생 신청을 제기했고, 법원은 이를 받아들여 회생 절차를 개시했습니다. 기업회생은 채권자가 해당 기업에 대한 채권의 10분의 1 이상을 보유하면 신청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2. 재무 지표로 드러난 위기 상황

왓챠의 위기는 재무 지표에서도 여실히 드러납니다. 2023년 매출은 전년 대비 22.8% 감소한 338억 원을 기록했으며, 당기순손실은 82억 9,600만 원에 달했습니다. 특히, 유동부채가 유동자산보다 907억 원이나 많아 재무적으로 매우 불안정한 상태였습니다. 결국 외부감사인으로부터 감사의견 거절까지 통보받아 상장폐지 위기에 처한 기업과 유사한 상황에 놓였습니다.

 

3. 초기 독점 콘텐츠의 한계와 경쟁력 상실

업계 관계자들은 왓챠의 위기 원인으로 초기 성공 요인이었던 독점 콘텐츠의 한계를 지적합니다. 왓챠는 과거 해외 유명 콘텐츠를 독점적으로 유통하며 많은 구독자를 확보했지만, 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 등 막대한 자본을 앞세운 글로벌 OTT들이 대거 국내 시장에 진출하면서 경쟁에서 우위를 잃었습니다. 자금난에 시달리던 왓챠는 콘텐츠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설 수 없었고, 이는 구독자 이탈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초래했습니다.

 

이제 왓챠는 회생 절차를 통해 재기의 발판을 마련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습니다. 하지만 치열한 경쟁 환경 속에서 과연 왓챠가 과거의 영광을 되찾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

 


#왓챠 #Watcha #기업회생 #OTT #온라인동영상서비스 #넷플릭스 #콘텐츠경쟁 #재무위기 #LG유플러스 #인수무산 #스타트업 #코로나수혜주 #콘텐츠산업

 

출처:

https://v.daum.net/v/20250805195400346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