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핵심 요약
- 리튬 현물 3개월 최고치 — 중국 광산 감산 소식·생산 조절 전망
- 테마주 일제히 급등 — 리튬포어스(+29.9%), 하이드로리튬(+29.8%), 중앙첨단소재(+16.6%), 새빗켐(+13.8%)
- 공급 과잉 우려 상존 — 2025~26년 공급 프로젝트 취소에도 여전히 과잉 전망
- 단기 베팅엔 유망, 중장기론 조심 — 고점 매수 리스크·가격 반등 여력 제한
21일 오전, 리튬 테마주들이 ‘30%대’ 급등 장세를 연출했다. 대표주들인 리튬포어스(₩1,307 +29.92%), 하이드로리튬(₩2,850 +29.82%) 등을 필두로, 중앙첨단소재(+16.59%)와 새빗켐(+13.80%)도 강세를 기록했다. 이 같은 급등은 중국발(發) 리튬 현물 가격이 3개월 내 최고치로 치솟았다는 소식이 불을 붙였다.
중국발 리튬가격 급등 배경
- 광산 감산 공시
- 중국 칭하이성의 장거광업이 지방정부 지시로 생산 중단
- 과잉생산 조절 전망
- 시장에선 ‘리튬 과잉공급 해소’ 기대감 확산
그러나 공급 과잉 우려는 여전히 꼬리표다. 유안타증권 이안나 연구원은 “취소된 탄산리튬 프로젝트만 최소 4건이지만, 이를 감안해도 수년간 공급 과잉이 지속될 것”이라며 “2025~26년 가격 하방 압력이 강해질 전망”이라 경고한다.
인사이트
- 단기 테마 베팅엔 기회
- 감산 뉴스에 민감히 반응하는 리튬 테마주는 변동성이 크지만 단기 급등락 장세에서 수익 기회를 노릴 만합니다.
- 중장기 투자엔 신중 필요
- 공급 과잉 구도가 해소되지 않는 한, 중장기 가격 반등 모멘텀은 약할 수밖에 없습니다. 차익실현 수요가 몰리면 급락 전환 가능성도 높습니다.
- 리스크 관리 필수
- 이 종목들은 테마주 성격이 강해 손절·익절 기준을 사전에 정해두는 게 좋습니다. ‘과열 신호’가 확인되면 청산을 검토하세요.
- 공급·수요 동향 면밀히 관찰
- 신규 광산 가동, 배터리 원료 대체 기술, 글로벌 재고 조정 소식까지 모니터링해 투자 타이밍을 잡아야 합니다.
시장의 단기 급등 흐름을 활용하되, 과잉 공급 탈출 전까지는 ‘스윙 트레이딩’ 전략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입니다.
728x90
반응형
LIST
'경제 > 경제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년퇴직자 재고용 사업장 38%, 4년 새 14%p↑…“일률적 정년연장은 부작용만” (1) | 2025.07.22 |
---|---|
스튜디오미르, ‘케이팝 데몬 헌터스’ 열풍에 8% 급등 (5) | 2025.07.21 |
단말기유통법 폐지, ‘지원금 전쟁’ 다시 시작될까? (5) | 2025.07.21 |
특검, ‘집사게이트’ 핵심 기업인 소환 — 카카오·HS효성 투자 배경 집중 추궁 (3) | 2025.07.21 |
소비쿠폰 사용처, 이 글 한 번에 정리하기 (6) | 2025.07.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