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뉴스

LG, B2B AI ‘챗엑사원’으로 기업시장 공략 나섰다

by 그래도동 2025. 7. 22.
728x90
반응형
SMALL

핵심 요약

  • LG AI연구원이 기업·공공기관 전용 AI 챗봇 ‘챗엑사원’ 베타 서비스 첫 공개
  • LG 내부에 4년간 적용해온 대규모 언어모델(LLM) ‘엑사원’ 기반, 보안·근거 명시·답변 충실성 강화
  • 의료 진단·데이터 가공·투자보고서 작성 등 3대 B2B 솔루션으로 사업화 본격화
  • LSEG와 협업해 스몰캡 기업용 AI 투자보고서 3분기 출시 예정

LG그룹의 AI 전담 조직인 LG AI연구원이 2021년부터 사내 전용으로 다져 온 인공지능(AI) 플랫폼 ‘엑사원’을 22일 외부에 공식 공개했다. 일반 소비자용 챗봇 챗GPT나 구글 제미나이와 달리, 보안·컴플라이언스가 중요한 기업·공공기관을 주 타깃으로 한 B2B AI 사업에 드라이브를 건 것이다.

1. 챗엑사원 베타 오픈

  • 기업 이메일 인증 필수 가입으로 사용 주체를 제한
  • 답변 신뢰성(충실도·근거·구조 일관성) 면에서 챗GPT‑o3, 제미나이 프로 2.5와 대등한 성능
  • 온프레미스 배포로 내부 데이터 유출 걱정 無

2. 엑사원 생태계 확장

  • 엑사원 패스 2.0: 1분 내 의료 영상 진단 가능한 정밀의료 AI
  • 엑사원 데이터 파운드리: 전문가 60명·3개월 → 하루 만에 대규모 학습용 데이터
  • 엑사원 4.0 VL: 멀티모달 AI로 텍스트·그래픽 종합 이해, 라마4 스카우트 상회 성능

3. 구광모의 5년 드라이브 결실

  • 2020년 12월 설립 후 1000억 원 규모 B2B AI 수주
  • LSEG 협업: 정보 빈약 스몰캡·나노캡 기업용 AI 투자보고서 3Q 출시
  • 피지컬 AI(로봇·공장 자동화)·AI 반도체 파트너십 확대

인사이트

  • B2B AI 시장의 승부처
    챗GPT 죽기살기 소비자 시장과 달리, 보안·신뢰성이 핵심인 기업 시장은 틈새이자 블루오션. 엑사원의 미션 크리티컬 적용 사례 확보가 관건이다.
  • 온프레미스+멀티모달 조합
    데이터 유출 위험을 완벽 차단하는 온프레미스 배포와, 텍스트·이미지·표·그래프까지 소화하는 멀티모달 AI는 공공·금융·제조업체의 맞춤형 솔루션 수요를 끌어올린다.
  • 국내 AI 생태계 레이어 확장
    AI 모델+데이터 플랫폼+AI 서버+반도체 레퍼런스 설계에 이르는 토털 스택 구축은 국내 AI 주도권 확보 경쟁에서 강력한 무기다.
  • ‘실증 → 상용화’ 로드맵 가속
    2025년 하반기까지 의료·투자보고서·제조 자동화 3대 과제의 실증 완료를 통해, 연내 수익 창출 단계로 진입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 글로벌 파트너십이 열쇠
    LSEG 외에도 국책연구소·대형 SI·자동차·에너지 기업과의 협력이 성패를 가른다. AI 프로젝트 경험을 바탕으로 해외 수출 기회도 모색해야 한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