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뉴스

🏦 “이 상황에 또 올라요?”…기준금리 인하에도 주담대 금리가 치솟는 이유

by 그래도동 2025. 6. 11.
728x90
반응형
SMALL

기준금리는 인하, 그런데 왜 내 대출금리는 오를까?

지난달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했습니다.
하지만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는 오히려 가파르게 상승 중입니다.

“금리 내렸다더니 내 대출금리는 왜 자꾸 오르는 거죠?”
이렇게 느끼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주담대 금리가 역주행하는 핵심 원인
앞으로의 전망, 금리 흐름에 따른 체크 포인트를 정리합니다:

  1. 기준금리와 주담대 금리는 왜 따로 움직일까?
  2. 국채·은행채 금리가 주담대에 미치는 영향
  3. 지금 대출을 받아야 할지, 기다려야 할지

 


 

📈 ‘금리 역주행’의 진짜 이유는? – 지표금리 + 가산금리의 동반 상승

주담대 금리는 ‘기준금리’로만 결정되지 않습니다.
실제로는 아래 두 요소가 가장 큰 영향을 줍니다:

구성 요소설명
지표금리 은행채(5년물 등) 금리 = 대출 원가
가산금리 은행이 수익 확보를 위해 덧붙이는 마진
 

✅ 지표금리(은행채 금리) 상승

  • 한국은행 기준금리는 내렸지만,
  • 은행이 자금을 조달하는 은행채 금리는 상승 중

예: 5년 만기 은행채 금리

  • 5월 7일: 연 2.685%
  • 6월 10일: 연 2.856% (+0.171%p 상승)

이유는 한·미 국채 금리 상승 때문입니다.
→ 결국 은행의 조달 비용이 늘어나고,
대출금리도 동반 상승하게 됩니다.

 

✅ 가산금리 인상 – 대출 수요 억제 목적

  • 은행들이 최근 가계대출 증가세를 경계
  • 가산금리를 일부러 올려 대출 수요를 조절하는 전략
예시변화
국민은행 6일 만에 금리 0.26%p 인상
케이뱅크 가산금리 0.29%p 인상
SC제일은행 6월 18일부터 +0.15%p 인상 예정
 

 

🌍 국채금리 급등 – 한·미 재정적자 우려가 핵심 배경

주담대 지표금리 급등은 사실상 국채금리 상승에서 시작됐습니다.

국가10년 만기 국채 금리
미국 4월 4일: 연 3.991% → 6월 10일: 4.474%
한국 4월 30일: 연 2.563% → 6월 10일: 2.831%
 

원인 요약:

  • 미국: 트럼프 감세 정책 재추진 → 재정적자 확대 우려
  • 한국: 이재명 정부 추경(20조 원 이상) → 국채 발행 증가 예상

→ 국채 공급 확대 예상 = 금리 상승 압력
→ 은행채 금리도 동반 상승 = 주담대 금리 상승

 


 

📌 지금 대출 받을까, 말까? – 전략적으로 판단하자

상황판단 포인트
대출 예정자 단기 내 추가 상승 가능성 주의
금리 고정 vs 변동 변동금리 부담 ↑ → 고정금리 고려 확대 중
주담대 리파이낸싱 고려자 금리 확정 전 조건 비교 필수
 

단기적으로는 금리 인하 기대와 반대로
조달 비용과 정책 불확실성 때문에 금리는 더 오를 수 있습니다.
지금 당장 서두르기보다는 DSR 등 조건 체크 후 은행별 금리 비교가 더 중요합니다.

 


 

📌 핵심 요약 – 기준금리는 내렸지만 주담대 금리는 왜 오르나?

항목요약
기준금리 변화 5월 말 0.25%p 인하
지표금리 은행채 금리 상승 → 주담대 원가 상승
가산금리 은행들이 수익 확보 + 대출 억제 전략
국채금리 한·미 재정적자 우려 → 국채금리 상승
대출 전략 조건별 비교 필수, 고정금리 선호 증가
728x90
반응형
LIST

댓글